일본 주요 자동차업체들이 유럽의 재생 플라스틱 사용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차에 사용하는 플라스틱의 생애 전주기에 대한 공급망을 구축한다.
12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혼다와 닛산, 도요타자동차 등 일본 자동차업체들이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순환경제체제 확립에 나선다.
혼다는 화학업체 및 재활용업체와 제휴해 2040년까지 재생 플라스틱 공급망을 갖추기로 했다. 신차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종류는 현재보다 60% 줄인 6~7종으로 단순화시켜 재활용을 용이하게 한다는 방침이다. 혼다의 첫 양산 전기자동차인 '혼다e' 모델에서 쓰이는 플라스틱 소재는 약 25종류이다.
혼다는 회수한 플라스틱을 자동차 부품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화학업체와도 손을 잡았다. 재생 플라스틱은 불순물이 섞이면 강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현재 재생 플라스틱 품질을 기존 제품과 같은 수준으로 높이는 기술개발을 주력하고 있다.
닛산은 프랑스 자동차업체 르노와 손잡고 폐전기차 부품으로 재생 플라스틱을 만다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재생 플라스틱은 유럽에서 만드는 신차에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닛산은 자동차 소재 재활용을 다루는 르노 자회사에 대한 출자를 검토하고 있다.
도요타는 일본과 유럽 생산차량에 대해 2030년까지 차량 중량의 30% 이상을 재생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랜드크루저 250' 모델은 페트병으로 만든 시트를 적용하고 있고, 유럽에서 판매하는 소형 SUV 'C-HR'은 재생 플라스틱 사용량을 이전 모델보다 약 2배 늘렸다.
이처럼 일본 자동차업체들이 재생 플라스틱 공급망 구축에 열을 올리는 것은 유럽연합(EU)의 재생 플라스틱 사용 의무화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23년 EU는 신차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25% 이상을 재생 플라스틱으로 하는 규칙안을 공표했는데 이 규제는 2031년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여 전세계 자동차업계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다.
우리나라 완성차업체들도 이같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지만 역부족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는 차량의 70%를 차지하는 철 외에 휠가드·언더커버 등 내장부품을 비롯해 램프·클로져 등 외장부품도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출시한 5세대 싼타페 모델의 스웨이드 헤드라이너·바닥 매트·2열과 3열 시트백에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한 소재를 적용하기도 했다.
기아는 바다에서 수거한 플라스틱을 완성차 부품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기아는 "지난해 태평양 GPGP에서 수거한 플라스틱 쓰레기 55톤을 전자차 부품을 만드는데 활용했다"고 밝혔다. 또 재활용 쓰레기 활용방안을 늘리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완성차의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률을 20% 이상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KG모빌리티, 한국GM 등 다른 자동차업체는 아직 별도의 순환자원 관련 계획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지금 추세로는 한국 완성차업체들은 EU가 요구하는 항목을 충족시키기엔 역부족으로 보인다"라며 "그렇다고 무작정 규제에 맞춰 재생 소재를 늘린다면 비용면에서 부담이 커진다"고 말했다. 이어 "각 기업의 노력은 물론, 정부 차원에서의 재생 소재 공급망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