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 배출량 6.4% 감소...그러나 발암성물질은 2.4% 증가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4-16 14:19:31
  • -
  • +
  • 인쇄
환경부 '2022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
화학물질 취급량 대비 배출량 0.05p 높아져
▲2022년도 국내 화학물질 배출량 (자료=환경부)


지난 2022년 국내 화학물질 배출량은 6만여톤(t)으로, 전년에 비해 6.4% 감소했지만 발암성 물질 배출량은 오히려 늘었다.

환경부는 2022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3832개 업체에서 234종의 화학물질 총 19만8590톤을 취급하고 6만1035톤이 배출됐다고 16일 밝혔다. 조사대상은 30인 이상 사업장 중 화학물질을 1톤 또는 0.1톤 이상 취급하는 업체들이다.

화학물질 배출량은 전년보다 4177톤(6.4%) 감소했다. 3813개 업체가 227종의 화학물질 21만5721톤을 취급했던 전년보다 취급량도 7.9% 감소했다. 취급량 대비 배출량 비율은 2021년 30.2%에서 2022년 30.7%로 조금 높아졌다.

화학물질 종류별로는 톨루엔(16.6%), 아세트산 에틸(15.5%), 자일렌(15.5%) 순으로 배출됐으며, 이 3개 물질이 전체 배출량의 48%를 차지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 배출량이 1.7톤 감소했고 △종이(펄프) 및 종이제품 제조업 배출량은 1.2톤 감소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배출량은 1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물질 배출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화학물질 취급업체가 몰려있는 경기·충남·울산 순이었다. 경기지역 배출량은 28.9%, 충남지역은 17.6%, 울산지역은 11.7%를 기록했다. 이 3곳의 배출량을 합치면 58%에 달했다. 면적당 배출량이 가장 높았던 곳은 1㎢당 6.7톤을 배출한 울산으로 조사됐고, 대구(2.4톤), 부산(1.9톤)이 그 다음을 차지했다.

화학물질 배출량은 감소했지만 발암물질 배출량은 오히려 늘었다. 국제암연구기관(IARC)에서 분류돼 있는 발암성 물질 70종의 배출량은 2022년 1만287톤으로, 2021년 1만49톤보다 238톤(2.4%) 늘었다. 확실한 발암물질 13종은 3.3%가량 줄었지만 발암추정물질과 발암가능물질에 해당하는 57종 배출량이 더 증가한 것이다.

윤준헌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1과장은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발암성 물질 증가에 대해 "지역이나 업종별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아 특정한 요인을 확인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또 환경부가 202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를 적용하고 있는 벤젠 등 유해화학물질 9종 배출량은 2022년 7182톤으로 2021년(6857톤)보다 4.7% 증가했다.

다만 화학물질 배출저감제에 따라 배출저감계획서를 제출한 사업장의 9종 배출량은 2022년 6383톤으로 2021년(6817톤)보다 6.4% 줄었다. 배출저감계획서 제출 대상은 9종 화학물질을 1톤 이상 배출하는 30인 이상 사업장 281곳이다.

황계영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경제활동 과정에서 화학물질의 사용과 배출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유해성이 높고 배출량이 많은 물질의 경우 이를 줄여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화학물질 배출저감 제도와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역별 협의체 활동을 통해 기업이 화학물질 배출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름다운가게, 수익나눔 '2026 희망나누기' 파트너 공모

비영리 공익법인 아름다운가게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파트너 단체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26 아름다운 희망나누기' 사

"굳이 2교대를?" 李대통령 지적에...SPC '8시간 초과 야근' 없앤다

SPC그룹이 생산직 야근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해 장시간 야간근로를 없앤다.SPC그룹은 지난 25일 경기도 시흥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기후/환경

+

미국과 멕시코 ‘물 전쟁’ 종료…티후아나강 하수차단 합의

20년 넘게 국경을 오염시켜온 티후아나강 하수 문제가 마침내 해결 수순에 들어갔다. 미국과 멕시코는 2027년까지 원시 하수 유입을 전면 차단하기로 합

기후·환경정보 한눈에...'경기기후플랫폼' 서비스 시작

경기도에서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어디가 가장 좋을까? 전기요금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내 주변 가장 가까운 폭염대피소는 어디지? 이런 질

기록적 폭염이 키운 산불...그리스·튀르키예 동시다발 산불에 '아비규환'

그리스와 튀르키예 전역에서 대형 산불이 동시다발 발생해 수십명이 대피하고,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그리스는 전국에서 화재 진압이 이어지

동부 40℃ 폭염, 서부 알래스카급 냉기…'이상기후'에 갇힌 美

미국 전역이 극단적인 이상기후에 휩싸였다. 동부와 중서부는 6월에 이어 또다시 열돔에 갇혀 체감온도가 40℃를 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반면, 서

[날씨] "이러다 40℃ 넘겠다"...폭염 기세 더 맹렬해진다

지난 주말 일부 지역에서 한낮 최고기온이 40℃에 육박하는 맹렬한 폭염이 이번주 내내 이어진다. 한낮기온이 매일 정점을 찍으며 올라가는 '극한폭염'

녹색철강, 수요 있어야 전환도 있다..."정부가 공공조달 물꼬 틔워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정부의 녹색철강 수요 창출이 전환을 이끄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