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노트] '드레스룸 비우기'가 바꾼 나의 삶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4-03-18 08:00:03
  • -
  • +
  • 인쇄

[그린노트]는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사회 공감대를 형성하자는 차원에서 생활속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플라스틱 저감을 위해 실천하는 분들이 투고한 글입니다. 그동안 혼자 실천해왔던 친환경 생활을 공유하고 싶은 분들이나, 생활주변에서 훼손되는 환경오염 현장들, 그리고 우리가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제언을 뉴스트리로 보내주시면 게재하겠습니다. 이 글은 아름다운가게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드레스룸에서 평소 안입는 옷들을 꺼내 아름다운가게에 기부할 옷들을 정리했다. © 안혜진 제공

"니 또 옷 샀나? 이 거적때기 같은 건 뭐고?"

대학생 시절, 인터넷으로 옷을 사면 엄마가 자주 했던 말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누가봐도 '물욕의 여왕'이었던 시절, 나는 '인터넷 쇼핑'이라는 신세계에 눈을 뜬 이후로 다양한 옷을 구매했다. 지금은 예쁜 옷을 발견해도 장바구니에 저장해놓은 후 이걸 사는 게 맞는지 고민을 많이 한다. 하지만 당시에는 아르바이트 비용으로 70만원 정도 벌면 물욕이 생겨 마음에 드는 게 있으면 고민없이 바로 결제했다. 그렇게 구매한 옷은 두말할 것도 없이 '휴지통' 행이었다.

2018년 늦가을, 다니던 회사를 그만둔 후 잠시 '백수'가 됐다. '새로운 시작'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내 생활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때 가장 먼저 들었던 생각이 '내 공간을 정리해보자'였다. 그때는 '정리'니 '미니멀리즘'이니 하는 개념이 생소했지만 몇몇 사람들에게서 유행하던 시기였다. 그래서 나에게 필요없는 물건을 정리하면 뭔가 삶이 정돈되는 느낌이 드는 듯했다.

우리 집은 방이 모두 4개인데, 방 하나는 드레스룸 개념으로 쓰고 있다. 첫 타깃은 그곳이었다. 드레스룸에 발을 디딘 느낌이 아직도 생생하다. 물건으로 가득차 있어 숨 막히는 느낌. 내 옷뿐만 아니라 부모님 옷까지 있다보니 드레스룸은 발 디딜 틈이 없었다. 회사에 다닐 때는 출근할 때마다 '왜 이리 입을 옷이 없지' 싶었는데, 드레스룸을 정리하다보니 한 번도 안맨 가방이 등장하고, 언제 샀는지 기억도 안나는 옷들이 툭툭 튀어나왔다.

▲아름다운가게에 물품기부
나는 대형 종이가방 여러 개에 그동안 손길 한번 주지않았던 옷이며 가방 등을 접어넣었다. 여러 꾸러미가 나왔다. 정리된 종이가방을 보고 있자니 솔직히 조금 아깝다는 느낌이 들었다. 놔두면 언젠가는 쓰지 않을까 하는 그 고질병. 하지만 나는 알았다. 지금까지 쓰이지 않은 물건은 미래에도 쓰지 않는다는 것을. 그래서 그 무거운 종이가방을 거실로 들고 내려왔다.

정리한 옷을 아름다운가게에 기부하기로 마음먹었다. 거실에 종이가방을 다시 풀어놓고 아름다운가게에 기부할 물품과 주변에 나눠줄 물건, 의류수거함에 넣을 물건들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덕분에 드레스룸은 숨 막히는 공간에서 '적당한 여백의 미'가 존재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내게 필요한 물품만 남겨놓으니 내가 선호하는 옷 스타일이 정립됐다. 좋아하는 물건을 더 소중히 다루게 된 것은 덤이다.

이날 이후로 나는 옷에 대한 미니멀리즘을 지키고 있다. 물론 옷을 안사진 않는다. 하지만 예전처럼 금방 버릴 물건은 사지 않는다. 값이 좀 나가더라도 오래,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로 산다. 그랬더니 의류 구매비용이 예전보다 훨씬 줄었다.

주변에서 안입는 옷을 기부받아 입기도 한다. 나와 옷 스타일이 비슷한 엄마가 안입는 옷, 생각보다 패션스타일이 좋아 옷을 자주 구매하는 오빠로부터 안입는 옷이 있으면 달라고 말했다. 안입는 옷들을 모은 후 그 중 내가 오래 입을 만한 옷을 끄집어내 자주 입고 있다. 남자친구가 생긴 이후로 남자친구가 입지 않는 셔츠와 카디건도 받았다.

처음에는 좀 '궁상맞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사람이 입던 옷을 가져와서 입는 게 좀 그런가 싶었다. 실제로 남자친구의 옷장을 털고 있을 때 남자친구의 어머니가 그 광경을 보고 놀라셨다. 하지만 나는 안다. 이런 행위가 지구를 좀 더 위한다는 걸. 또 고물가 시대, 짠테크를 하고 있는 내게 여윳돈을 마련해준다는 사실을.

'패스트패션'이 범람하고 유행이 한 달 단위로 바뀌고 있는 요즘, 많은 옷들이 버려지고 있다. 내가 유튜브에서 본 'KBS 환경스페셜'에선 파키스탄이었나 어느 나라의 소가 먹을 것이 없어 버려진 옷 조각을 먹고 있었다. 또 그해의 패션 유행을 보려면 중국 황하의 물 색깔을 보면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패션이 환경 그리고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환경 관련 글이나 영상을 보면서 과거 내 행동이 많이 부끄러웠다. 지구가 많이 아프게 된 데에 일조했다고 생각에서다. 그래서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지구에 무해한 사람이 되고 싶어 노력중이다. 옷 덜 사기, 주변사람들로부터 옷 기부받아 입기, 더이상 설레지 않는 물건은 '아름다운가게'에 기부하기. 사소하지만 실천하기 쉬운 것들로 노력을 기울이면 조금은 지구에게 덜 미안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글/ 안혜진
  한때 '물욕의 여왕'이었으나, 제로웨이스트와 미니멀리즘을 접한 이후 조금이라도 지구에 덜 미안한 사람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KT, 20번째 ESG보고서 발간…"AICT 기반 ESG 전략 구체화"

KT가 인공지능(AI) 기반 ESG 실천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년 KT ESG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AICT(인공지능과 정보통신

우리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SBTi 인증 탄소감축 목표 달성 공시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협력사도 탄소관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기후/환경

+

"온난화 때문만은 아니다"…남극 해빙 줄어든 진짜 이유는 '염분'

지구온난화가 남극 해빙을 녹이는 주된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해수 염분이 더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해수면의 염분이 높을수록

열돔과 열섬에 47℃까지 치솟는 유럽...WMO "폭염은 이제 일상이 됐다"

유럽이 47℃까지 치솟는 역대급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세계기상기구가 전세계는 이제 폭염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고 경고했다. 세계기상기

때이른 폭염에 사람도 가축도 '신음'...곳곳 폭염 피해 속출

전국이 습하고 더운 '가마솥 더위'에 시달리고 있다. 2일 낮 최고기온이 36℃에 이르면서 사람과 가축도 탈진하거나 목숨을 잃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 제거 신소재...AI로 찾았다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을 제거하는 흡착 신소재를 인공지능(AI)로 찾는데 성공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류호진 교수와 한국화

[날씨] 낮에는 36℃ '가마솥 더위'...밤에는 '열대야' 기승

2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겠다.당분간 기온은 평년(최저 19∼21℃·최고 25∼29℃)보다 높겠고,

국내 화석연료 전력비중 사상 처음으로 50% 밑으로 '뚝'

태양광 발전에 힘입어 국내 화석연료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50% 이하로 떨어졌다.글로벌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가 2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올 4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