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대 바이오 미래 유망기술' 선정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은 '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에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플랫폼바이오)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레드바이오)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육종(그린바이오) △바코드 미생물(화이트바이오) 등 4개 분야에 걸쳐 10대 기술을 선정했다.
정부는 지난 2015년부터 매년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발굴하고 있으며, 올해도 플랫폼바이오(기초·기반) 3개, 레드바이오(보건의료) 3개, 그린바이오(바이오농업) 2개, 화이트바이오(바이오화학·환경) 2개를 향후 5~10년 이내 기술적 또는 산업적으로 실현이 기대되는 10개의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발굴하고, 그 결과를 바이오정보 포털사이트 바이오인(www.bioin.or.kr)에 공개했다.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은 수 십만개 이상의 DNA·RNA 분자에 담긴 염기서열 정보를 보다 길게 높은 정확도로 해독하는 기술이다. 기존 시퀀싱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염색체 단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변이 탐색과 고품질 유전체 지도 작성을 가능케 할 전망이다.
최근 마이크로바이옴이 대사, 면역, 뇌신경질환뿐만 아니라 암의 성장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규명되면서, '마이크로바이옴을 표적으로 한 항암백신'이 레드바이오 분야의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되었다. 항암백신의 표적이 되는 신생항원(neoantigen)이 적게 존재해 치료제 개발이 어려운 일부 난치성 암에 대해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생항원은 유전자 돌연변이 등 암세포에서 일어나는 변화로 새롭게 출현하는 항원을 말한다.
또 그린바이오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육종'은 유전체 분석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더위, 가뭄과 같은 기후변화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는 기술이다. 합성생물학을 응용해 무해한 미생물에 특정 DNA 서열(DNA 바코드)을 삽입, 이를 통해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출처 정보 및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바코드 미생물'은 제품 유통, 감염병 추적, 법의학 등에 활용 가능한 기술로 화이트바이오 분야에서 선정됐다.
과기정통부 노경원 연구개발정책실장은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은 고령화, 감염병, 기후변화 등 글로벌 난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정밀/맞춤(Precision/Personalization), 재생(Regeneration), 지속가능(Sustainability)이라는 미래비전도 제시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새로운 유망기술 발굴과 전략적 투자 강화는 물론, 글로벌 선도국과의 협력을 확대하는 등 첨단바이오 분야에서 패스트팔로워가 아닌 퍼스트무브형 연구개발(R&D) 기반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