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038년까지 메탄 배출량 80% 감축한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12-04 12:38:24
  • -
  • +
  • 인쇄
▲마이클 레이건 EPA 청장이 COP28 에서 연설하고 있다(출처=AP/연합뉴스)

미국이 2038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80%까지 줄일 계획이다.

미국 환경보호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리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메탄 배출량을 2038년까지 총 5800만톤 이하로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국제사회가 2030년까지 메탄 30% 감축을 서약한 것보다 한발 더 나아간 감축계획으로, 미국은 이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새로운 규정도 발표했다.

미 환경보호청의 새로운 규정에 따라 미국 내 석유·가스 회사들은 당장 내년 1월부터 기존 시설에서 메탄이 유출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또 유정에서 메탄가스가 방출되는 것도 막아야 한다. 아울러 화석연료 기업들은 메탄가스 유출량을 모니터링한 다음에 정부에 보고해야 한다. 메탄 가스가 누출된 기업은 75일 이내에 회사명이 공개된다. 

마이클 레이건(Michael Regan) EPA 청장은 "기후변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 미국이 단기적으로 취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조치 중 하나가 메탄 배출량을 급격하게 낮추는 것"이라며 "메탄 감축으로 향후 15년동안 약 15억톤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자동차 2800만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과 맞먹는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대기중 지속하는 시간이 짧지만 온실가스 효과는 84배에 이를 정도로 강력하다. 이에 기후과학자들은 그동안 "메탄은 지구온난화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며 "메탄을 줄이는 것이 단기적 기후위기를 막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COP26에서 제안된 '글로벌 메탄 서약'에 현재 150개 국가들이 서명했다. 글로벌 메탄 서약은 2030년까지 자국의 메탄 배출량을 30% 줄이겠다는 일종의 국제조약이다. 메탄 감축을 위해 모은 기부금은 현재 약 10억달러 규모에 이른다.

존 케리(John Kerry) 미국 기후특사는 "그동안 각국이 이산화탄소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탄 및 기타 기후 오염물질을 소홀히 했다"며 "메탄 감축조치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가장 쉽고, 빠르고, 저렴하게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메탄 감축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유엔에 기후데이터를 제공하는 업체인 케이로스(Kayrros)가 지난 1일(현지시간) 발표한 '메탄 배출지도'에 따르면 2019년부터 현재까지 5600건이 넘는 메탄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케이로스는 "단 1건의 누출 사건은 수백만대의 자동차가 탄소배출을 내뿜는 것과 같다"고 밝혔다.

한편 2일(현지시간) COP28에는 화석연료 감축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 EPA는 "신규 석탄발전소를 건설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콜롬비아는 산유국 중에서 유일하게 화석연료 비확산 조약에 가입했다. 현재까지 100여개국이 "화석연료 퇴출을 COP28 최종 협약의 일부로 지지한다"는데 동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파티 비롤(Fatin Birol)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사무총장은 "석유 및 가스 산업 자체가 재생에너지로 전환되지 않으면 급격한 경제 쇠퇴에 직면할 수 있다"며 "화석연료 회사들은 고작 자본의 2.5%만을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강력한 신호가 에너지 시장에 전달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잔반 없으면 탄소포인트 지급"...현대그린푸드, 단체급식에 '잔반제로' 보상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가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에 신설된 '잔반제로' 항목을 단체급식업계 최초로 실제 단체급식 사업장에

"노사 칸막이 없는 문화"…LG CNS '노사문화 우수기업'에 선정

AX전문기업 LG CNS가 상호 존중과 대화, 협력을 바탕으로 한 모범적 노사문화를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

KB국민은행, 금융취약계층 위한 '도움드림창구' 운영한다

KB국민은행이 금융취약계층을 위해 '도움드림창구'를 새롭게 운영한다.KB국민은행은 65세 이상 고령자와 장애인은 물론 7세 이하 자녀를 동반한 보호자

기아, 오토랜드화성 사업장에 PPA 재생에너지 첫 도입

기아가 국내 사업장 중 처음으로 오토랜드화성에 재생에너지 전력을 도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재생에너지 전력은 지난 2월 한국남동발전과 체결한

기후/환경

+

농경지 1만3000ha 침수 피해…'극한호우'에 밥상물가도 '비상'

한달치 비가 하루에 쏟아지는 '극한호우'로 전국의 농경지 1만3000헥타르(ha)가 침수되면서 농산물 가격폭등이 예상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브라질 의회 '환경허가 완화법' 의결..."환경규제 사실상 붕괴"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는 브라질에서 환경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환경허가 완화법'이 의회를 통과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법

경기도민 절반 '장마철 피해대처 방법' 모른다...소득별 정보격차 커

경기도민의 절반은 장마철 피해를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저소득층의 재해대응 인지도는 고소득층보다 25.

美 재생에너지 심사는 '깐깐하게' 석탄재 정화규제는 '느슨하게'

미국 정부가 풍력·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는 강화하면서 석탄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유독성 석탄재의 정화 시한은 늦추기로 하는 등 재

역대급 '극한호우'...왜 충청과 남부에 비구름대 몰리나?

지난 16일부터 충청권과 남부지역을 강타하고 인명피해까지 낸 폭우의 원인이 지구온난화로 심화된 '대기의 강' 현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18일 기상

中 흑연에 93.5% 관세 결정…美 전기차 가격인상 불가피

미국 상무부가 중국산 흑연에 93.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고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흑연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로, 이번 조치가 미국에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