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터미널 11개 더 들어선다..."과잉투자로 좌초자산 리스크 커질 것"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9 12:02:08
  • -
  • +
  • 인쇄
2036년 이용률 33%→19.8%로 하락 전망
불안정한 국제가스가격 에너지안보 위협


한국의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에 대한 과잉투자로 좌초자산 리스크가 커졌고, 이는 탄소중립 목표와 에너지안보까지 위협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가 발간한 '한국의 LNG 과다 확충'(South Korea's LNG Overbuild)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계획중이거나 건설중인 LNG터미널은 공공이 6개, 민간이 5개로 총 11개에 이른다. 투입된 자금만 11조3000억원에 달한다.

포스코와 SK 등 에너지 기업부터 한국전력공사의 발전자회사는 물론 HDC그룹과 한양 등 에너지에 큰 경험이 없었던 건설사까지 LNG 터미널 확충에 뛰어들고 있다.

그러다 보니 과잉투자라는 비판이 나온다. 보고서의 저자이자 IEEFA의 한국 에너지금융전문가인 김채원 연구위원은 "자체 터미널을 확보하려는 기업간의 경쟁으로 신규 터미널끼리 매우 밀접하게 붙어있어 비효율적"이라며 "LNG터미널들이 인접해 있으면 앞으로 사용자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충청남도 당진에서는 한국가스공사가 민간발전사 등과 대규모 터미널 신설을 놓고 경쟁하고 있고, 충청남도 보령에서는 발전공기업과 민간발전사간에 터미널 신∙증설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스를 포함한 화석연료 가격변동도 불안요소로 꼽힌다. 김 연구위원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같은 예측할 수 없는 위기 그리고 이로 인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 충격이 발생하면 가스 가격은 앞으로 또다시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국제 가스가격 상승은 LNG 터미널의 가동률을 감소시켜 비효율적 자산운용 및 좌초자산 위험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국제가스연맹(IGU) 데이터에 따르면 수입 LNG를 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해 가스화시키는 국내 '재기화시설' 이용률은 33%에 그쳤다. 전세계(41%)나 아시아(52.4%) 이용률보다 낮은 수준이다. IEEFA 예측에 따르면 미사용 LNG 재기화 용량은 올해 1억790만톤에서 2036년 1억5280만톤으로 늘어나 2036년 이용률이 19.8%까지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업들은 기존 LNG 인프라 용도를 바꾸고 재조정해서 향후 천연가스에서 블루수소를 생산하고 탄소포집∙활용∙저장(CCUS)을 통해 온실가스를 채집하는 방식으로 좌초자산 위험성을 완화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보고서는 CCUS 기술이 아직 시기상조이며,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것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짚었다.

IEEFA는 LNG 설비의 좌초자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2030 국가온실가스 배출목표'(NDC)에 맞게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효율적으로 LNG 설비를 활용하도록 노력하는 한편 LNG 사용을 연장하는 기술이나 서비스를 홍보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김 연구위원은 "재생에너지로의 빠른 전환만이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변동성이 큰 화석연료 발전비용을 줄이고 앞으로 한국의 에너지안보를 강화하는 방안"이라며 "LNG 인프라에 무리하게 과잉투자하는 것은 국내에서 생산 가능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늦춰 에너지 자립을 저해할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최남수의 ESG풍향계] '아리셀' 판결이 던진 과제

지난해 6월에 발생한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에 대한 1심 재판 결과가 지난 9월 23일에 나왔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위반한 이 회사

'종이제안서' 없앤다...서울시, 지자체 최초 '온라인 평가' 도입

서울시가 제안서 평가를 통해 계약상대자를 결정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에서 '제안서 온라인 평가제도'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제도는 전국 지

경기지역 수출 중소기업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어려워"

여전히 많은 수출기업이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절차 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회적 가치 1015억 창출

경기도가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이 지난해 총 1015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10일 밝혔다. 국내 지방정부가 특정 정책사업의 환경적·경

브라질, COP30 앞두고 '열대우림 보전기금' 출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 의장국인 브라질이 열대우림 보전 주도에 나선다.6일(현지시간) COP30 홈페이지에 따르면 '세계 지도자 기후

"자연자본 공시...기후대응 위한 기업·정부 공동의 과제"

6일 서울 삼성동 웨스틴서울 파르나스에서 '녹색금융 시장의 확대와 다변화'를 주제로 열린 '2025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 세션3에서는 자연기반 금

기후/환경

+

[COP30] 개방형 '배출권거래제' 논의...브라질-EU-中 등 연합체 결성

탄소배출권을 사고파는 탄소배출권 거래제 기준이 전세계적으로 통일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앞서 브

10년간 기후난민 2.5억명...절반이 올해 기후재난으로 발생

올해 전세계적으로 1억1700만명의 기후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지난 10년간 발생한 전세계 기후난민 2억5000만명의 절반에 달한다.기후난민

ICJ “기후방치는 인권침해”… COP30 협상 지형 흔든 판결

국제사법재판소(ICJ)가 국가의 기후변화 방치를 인권침해로 볼 수 있다는 자문 의견을 내놓으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협상에 새

'종이제안서' 없앤다...서울시, 지자체 최초 '온라인 평가' 도입

서울시가 제안서 평가를 통해 계약상대자를 결정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에서 '제안서 온라인 평가제도'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제도는 전국 지

나흘만에 또 '괴물 태풍'...필리핀 230㎞ 슈퍼태풍에 '초토화'

태풍 '갈매기'에 이어 최대 풍속 230㎞/h에 달하는 슈퍼 태풍 '풍웡'이 필리핀을 또 강타했다. 풍웡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봉황(鳳凰)을 뜻하는 광

적정이윤 회수됐는데 폐지될 석탄발전소에 53조 세금 보상

폐지 예정인 국내 석탄발전소가 여전히 초과보상을 받고 있으며, 그 세수가 약 53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기후솔루션은 10일 '석탄발전 과잉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