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 버려지는 일회용컵 84억개...다회용컵으로 전환하면?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1-07 12:00:51
  • -
  • +
  • 인쇄
그린피스 일회용컵 전과정 평가 보고서
신재 원료 줄이면 대기·인체영향 최소화
▲다회용컵 (사진=그린피스)

일회용컵 대신 다회용컵을 사용할 경우 해마다 내연기관 자동차 9만2000여대가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피스가 7일 발간한 '동아시아 다회용컵 및 일회용컵 시스템의 환경성과 전과정 평가(LCA)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한해 84억개씩 버려지는 일회용컵을 다회용컵으로 전환했을 때 국내에서만 연간 최대 25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보고서는 일회용컵에서 다회용컵 대여서비스로 전환시 생산부터 최종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비교했다. 한국과 일본, 홍콩, 대만 등 동아시아지역 다회용컵 대여서비스 업체가 연구에 참여했다. 한국에서는 '그린업'에서 데이터를 제공했다.

다회용컵 대여시스템의 컵당 사용기간은 3년으로 잡고, 연간 20회를 '낮은 사용빈도', 연간 60회를 '높은 사용빈도'로 설정해 재사용 빈도수별 영향 효과를 평가했다. 평가 항목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관련된 기후변화 영향, 인체 독성, 수질 영향 등 16가지다.

분석 결과 '높은 사용빈도'로 다회용컵을 사용할 경우 국내에서 연간 25만톤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9만2000대 이상의 내연기관 자동차가 배출하는 탄소배출량과 같다. 아울러 연간 180만㎥ 이상의 물과 100만배럴 이상의 석유를 절약할 수 있다.

화석연료 고갈 항목에서는 환경성과가 최대 57.3%까지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해마다 84억개의 일회용컵이 버려지는 한국의 경우 일회용컵을 만들 때 신재 플라스틱만을 원료로 허용하고 있어 개선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더욱 높았다. 대기질과 관련이 깊은 입자상 물질 형성 항목에서도 모든 사용빈도에서 50% 이상의 높은 비율로 환경성과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일회용컵·다회용컵 환경 성과 비교 (자료=그린피스)


일회용컵과 다회용컵의 환경영향 물질 총 배출량 차이는 생산단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플라스틱의 생산단계에서의 절감없이는 플라스틱 오염 해결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다회용컵을 사용하더라도 세척이나 운송 등의 과정에서 환경 영향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부정적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세제로 대체하거나 내연기관차 이용을 줄여야 하는데, 이는 시스템 확산을 통해 효율이 최적화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김나라 그린피스 캠페이너는 "이번 보고서는 재사용 시스템 확대와 일회용 플라스틱의 단계적 퇴출이 기후위기 대응과 환경보호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입증한다"며 "일회용 플라스틱을 포함한 일회용품 절감 정책에서 유예와 계도를 반복하고 계획의 번복하는 등 일관성 없고 퇴보하는 정책 대신 플라스틱 오염 문제의 근본 해결책 중 하나인 재사용 시스템의 정책적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어선 생활쓰레기 바다에 '풍덩'...해수부 '되가져오기' 캠페인 추진

어선 생활쓰레기가 무분별하게 바다에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양수산부가 31일 '바다의 날'을 맞아 경기지역을 시작으로 전국 연근해 어선을

'바다의 날' 맞아 하이트진로, 제주 반려해변 쓰레기 수거

올해 창립 100주년을 맞은 국내 종합주류회사 하이트진로가 바다의 날을 맞아 해양쓰레기 수거활동을 진행했다.하이트진로는 '바다의 날'을 하루 앞둔

하나금융 '기후리스크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참여

하나금융그룹이 날씨 빅테이터 플랫폼 기업 케이웨더와 함께 ESG경영 확산 및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후리스크 관리 소프트웨어(SW)' 개발에 참여

LG화학, 풍력발전 에너지 '제3자 PPA'로 20년간 확보

LG화학이 제3자 전력구매계약(PPA) 등을 통해 20년간 최대 1만230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풍력발전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협상권을 확보했다.

삼성스토어 '전기차 충전소 매장' 6월부터 늘린다

삼성스토어가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추가 확대한다고 31일 밝혔다.삼성스토어는 친환경 전기차 시장의 성장 추세에 따라 올 1월 전국 40개 주요 삼성스

[ESG세미나 영상]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녹색금융의 역할'

5월 28일 인하대학교 녹색금융대학원과 지속가능경영연구소 주최, 뉴스트리와 SDG연구소 주관으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녹색금융&ESG세미나'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