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은행들 '탄소폭탄' 되레 부채질...7년간 2440조원 투자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11-01 15:28:19
  • -
  • +
  • 인쇄
화석연료 채굴하는 '탄소폭탄 '사업 지속투자
대부분 중국 탄광...美은행들 투자규모 '최고'
▲JP모건 체이스 본사 (사진=연합뉴스)

JP모건 체이스(JP·Morgan Chase ) 등 글로벌 거대 은행들이 화석연료를 채굴하는 '탄소폭탄' 사업에 지난해만 1500억달러(약 203조6700억원) 넘게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2022년까지 미국과 중국, 유럽의 주요 은행들이 해당 기업들에 투자한 금액은 무려 1조8000억달러(약 2444조400억원)에 달했다.

10억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화석연료 채굴사업을 '탄소폭탄' 사업이라고 칭한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약 425여개의 탄소폭탄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인류에게 남은 탄소예산은 2500억톤으로 6년이면 모두 소진된다는 점에서 '탄소폭탄' 사업을 지원하는 금융권에 대한 시선은 곱지않다.

이번 조사를 진행한 프랑스 비영리단체 테이터포굿(Data for Good)과 에클레어스(Éclaircies)를 비롯한 환경단체들과 현지언론들은 "일부 사업들의 경우 데이터가 오래됐거나 운영상태가 불분명한 것은 맞다"면서도 "현재 진행중인 425개 사업 가운데 최소 20개는 2020년 이후 가동을 시작했고, 이들 중 대부분은 중국 탄광"이라고 밝혔다. 또 조사팀은 "현재 총 294개 사업이 실행중이며, 128개는 아직 시작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천연자원방위협의회(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NRDC)의 슈루티 슈클라(Shruti Shukla) 에너지연구원은 "실제로 더 많은 탄소폭탄이 존재할 것"이라며 "화석연료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줄여 화석연료 생산을 급감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장 많은 액수를 지원한 국가는 미국으로 밝혀졌다. 미국 은행들이 2016년~2022년까지 지원한 금액은 5000억달러를 웃도는 규모다. 구체적으로 JP모건 체이스가 1410억달러 이상을 제공했으며, 씨티은행가 1190억달러, 뱅크오브아메리카가 920억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월스파고(Wells Fargo)은행은 620억달러를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공상은행, 중국은행, 흥업은행 등 중국 은행 3곳과 유럽 소재의 BNP파리바, HSBC, 바클레이즈(Barclays)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 은행들은 화석연료 채굴사업에 대한 직접 대출이 아닌 그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에게 일반 금융상품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그린워싱 목적으로 이같이 대출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문제는 화석연료에 투자하는 것은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킬 뿐만 아니라 위험부담도 상당하다는 점이다. 2021년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현행 넷제로 추세로는 화석연료 사업이 계속 확장될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또한 네이처 연구에 따르면 지구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2020년~2050년까지 석탄 공급량을 99%, 석유 공급량을 70%, 가스 공급량을 84% 줄여야 한다. 

경제전문가들은 "탄소중립 목표가 달성되면 탄소폭탄은 결국 좌초 자산이 되어 금융권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텐-헤르데케 대학(University of Witten-Herdecke) 지속가능금융 연구원 얀 피히트너(Jan Fichtner) 박사는 "이런 일이 발생하면 또다른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은행들이 수익성 없는 사업에 투자하는 것은 물결을 거스르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한편 지목된 은행들은 일제히 이를 부인하거나 침묵으로 일관했다.

JP모건 체이스는 "우리는 에너지 안보를 지원하고, 고객이 저탄소 전환을 가속화하도록 돕고, 2030년까지 친환경 사업에 1조달러를 투자하는 등 에너지부문 전반에 걸쳐 금융을 제공한다"며 "우리 은행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동시에 전세계가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에너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HSBC 대변인은 "탄소중립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고 고객과 협력하여 다각화 및 탈탄소화를 지원하는 것이 우리의 핵심 우선 순위"라며 "우리는 2050년까지 금융부문 배출량 '제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바클레이즈는 "5개 고배출 부문에서 2030년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며 "2050년까지 탄소중립 은행이 되겠다는 목표에 맞춰 저탄소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고 탄소 집약적 활동을 줄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BNP 파리바는 "BNP파리바는 자금조달 방식에 관계없이 신규 유전 및 가스전 개발 전용 금융을 더이상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며 "2021년을 기점으로 탈 화석연료 기조를 더욱 강화해 2030년까지 에너지 투자의 80%를 청정에너지 기업에 투자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기후/환경

+

소리없는 살인자 '가뭄'...수천만명 극심한 기아 시달려

기후위기로 전세계 가뭄이 심각해지면서 수천만 인구가 기아로 내몰리고 있다.3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가뭄완화센터(NMDC), 유엔 사막화방지협약, 국제

그리스, 한달만에 또 '불바다'...폭염 영향으로 산불 빈발

그리스 키오스섬에서 산불이 발생한지 채 한달도 되지 않아 이번에는 크레타섬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2일(현지시간) BBC방송은 그리스 크레타섬 동

폭우 걱정했는데 장마 이대로 끝?..."빨리 시작하고 빨리 끝나"

엄청난 폭우를 예상했던 올해 장마가 비가 제대로 내리지도 않은 채 2주만에 끝났다. 이처럼 예상이 완전히 빗나간 기상예보는 앞으로 일상이 될 것이

8800만불 들여 쏜 메탄 추적위성 '메탄샛' 발사 1년만에 고장

지구의 메탄 배출량을 추적하는 위성 '메탄샛'(MethaneSAT)이 발사 1년만에 고장으로 임무가 중단됐다.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고정밀 메탄 배출 데이터를

무상할당제 폐지한 EU..."손실 기업들 CBAM 수익으로 보존"

2040년까지 탄소배출량 90% 감축목표를 내세운 유럽연합(EU)이 탄소배출 무상할당제 폐지로 손실을 보는 EU 기업들에 대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수익을

폭염도 보험되나요?...전세계 도입 '논의' 경기도는 이미 도입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폭염보험'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가 전 도민을 대상으로 '기후보험' 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