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가스 대안이 미국산 LNG?...에너지 딜레마 빠진 유럽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9-26 08:00:03
  • -
  • +
  • 인쇄

유럽 각국이 수 십 년동안 미국산 화석연료에 의존해야 할 전망이다. 유럽연합(EU)은 러시아 천연가스에서 벗어나 에너지 수요를 다각화 하기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환경단체들은 "유럽연합의 기후목표가 흔들릴 수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에너지 총괄국장 디테 줄 요르겐센(Ditte Juul-Jorgensen)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겨울 에너지 위기를 견딜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며 "여기에는 에너지 절약과 재생에너지 확대뿐만 아니라 미국산 액화천연 가스(LNG)를 더 수입하는 것도 포함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앞으로 수 십 년동안 화석연료가 필요할 것이고 이 맥락에서 미국 에너지는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일부 정치인과 환경운동가들이 유럽연합의 기후목표를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하지만, 유럽연합은 이미 수 십 년동안 미국산 천연가스를 소비할 것이라는 강력한 신호"라고 해석했다. 현재 유럽연합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2030년까지 1990년 수준 대비 배출량을 절반 이상 줄여야 하는데 이 와중에 러시아 가스에 의존하지 않고 에너지 안보를 지켜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실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본격화된 직후 유럽연합은 바이든 미국 행정부와 2030년까지 연간 5000만 입방미터의 미국산 LNG를 추가로 수입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서 유럽연합과 미국 정부는 "유럽연합과 미국의 기후목표는 서로 일치하고 이번 계약은 양 당사자가 가스 수요를 줄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점을 기반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기업컨설팅 전문가들은 "요르겐센의 이번 발언은 유럽 바이어들에게 2030년 이후에도 미국과 거래해도 좋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컨설팅 업체 ICIS의  파우제야 라만(Fauzeya Rahman)  LNG 애널리스트는 "미국 가스업체들에게 이는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고 전망했다. 

이는 수치로도 나타났다. 미국의 대유럽 LNG 수출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해 전년도 22bcm(일억입방미터)에서 2022년 56bcm로 증가한 것이다. 반면 러시아 가스 수입 비중은 지난해 3월 37%에서 올초 16%로 절반 넘게 줄었다. 

이에 미국 LNG 회사들은 유럽과 새로운 장기 공급계약을 속속 체결하고 있다. 미국 최대 LNG 수출업체인 셰니에르 에너지(Cheniere Energy)는 2040년까지 연간 255만톤을 공급할 예정이다.

아나톨 페이긴(Anatol Feygin) 셰니에르 최고영업이사는 "우리는 수 십 년동안 유럽에서 천연가스에 대한 상당한 수요를 계속 확인하고 있으며 특히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다른 LNG 수출업체 벤처 글로벌 LNG(Venture Global LNG)도 독일 국영기업인 SEFE(Securing Energy For Europe)와 20년동안 연간 225만톤의 연료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일부 유럽 정치인과 기후운동가 사이에서는 가스 수입을 확대하고 미국 공급업체와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EU의 기후목표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아란 커프(Ciaran Cuffe) 아일랜드 녹색당 의원은 "화석연료 인프라의 증가는 기후목표에 역행한다"며 "LNG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것은 근시안적인 생각"이라고 비판했다.

또 그는 "궁극적으로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리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고 이미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아일랜드 정부 당국은 부유식 LNG 수입 터미널 건설을 승인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에이몬 라이언(Eamon Ryan) 아일랜드 환경부 장관은 "전세계가 불타고 있는 상황에서 가스 사용을 확대할 수는 없다"고 일축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기후/환경

+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플라스틱 펠릿으로 뒤덮인 바다...침몰 선박에서 7만자루가 '와르르'

침몰된 선박에서 유출된 플라스틱 알갱이(펠릿)들이 해안가로 밀려오면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지난 5월 25일 라이베리아 국적의 컨테이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북극이 스스로 지구온난화를 늦춘다?..."기후냉각 성분이 방출"

북극에서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자연적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북극은 온난화 속도가 중위도보다 3~4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