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다리 마비됐던 생쥐가 걸었다...척수손상 유전자 치료 성공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9-22 11:54:52
  • -
  • +
  • 인쇄
▲척수손상 전신마비 환자가 보조기구로 재활하는 모습 (사진=스위스 로잔대학병원)


척수 손상으로 전신이 마비된 사람들을 치료할 수 있는 희망의 길이 열렸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캘리포니아대(UCLA), 하버드대, 스위스 연방기술연구소(EPFL)로 구성된 국제연구진은 척수손상으로 신체가 마비된 생쥐를 유전자 치료로 운동능력을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전신마비는 리브처럼 낙상, 충돌사고와 같은 외상이나 척수종양, 척수염 등 질병으로 척수 신경세포에 손상이 가해져 신호전달이 끊기면서 생기는 증상이다. 신경세포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연구됐지만 아직 운동능력까지 회복시키는 방법은 없었다. 주로 전신마비 치료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처럼 생각만으로 사물을 움직이는 형태의 보조기구 개발로 발전됐다.

하지만 연구진은 유전자 분석으로 운동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세포를 특정한 뒤 화학적 신호를 사용해 신경 재생물질을 척수손상 영역으로 유도하는 방식의 전신마비 치료법을 찾아냈다. 뒷다리가 마비된 생쥐는 이 치료법으로 다시 움직이고 걸을 수 있게 됐다. 

앞서 연구진은 2018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유전자 치료로 생쥐의 척수 신경을 재생하는 기술을 선보인 바 있지만 당시에는 신경세포 재생 후 운동기능 회복까지 이어지진 않았다.

마이클 소프로뉴 UCLA 교수는 "우리 연구는 신경 재생의 복잡성과 기능 회복에 필요한 요소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며 "신경학적 복원을 위해 신경을 재생하는 것뿐 아니라 표적 위치에 도달하는 유도 기술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척수마비 환자의 운동 능력 회복을 위해선 재생물질의 표적위치를 다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의 동물에서 재생해야 하는 신경세포의 길이가 긴 만큼 더 정교한 기술이 개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