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육 투자 확대..."미래는 소비자가 결정할 것"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줄이고 단백질 섭취를 대체육으로 전환하는 것이 동남아시아 기후위기를 해결하는 열쇠라는 분석이 나왔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지속가능 개발투자기관 아시아 리서치 인게이지먼트(Asia Research Engagement, ARE)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동물성 단백질 생산을 줄이고 식물성 대체 공급원으로 전환해야 한다.
보고서는 "2060년까지 동남아시아 및 기타 아시아 태평양 국가의 대체 단백질이 단백질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야 할 것"이라며 "이를 달성하려면 전용 자금이 필요하며 아시아 식품산업, 투자자 및 은행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탄소배출의 주요 배출원으로 꼽힌다. 대두 등 동물사료를 대규모로 재배하고 새로운 농장을 짓기 위해 산림을 개간하기 때문에 산림과 생물다양성도 훼손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축산업은 농업보다 자원집약적이고 더 많은 토지와 물, 동물, 항생제 등을 사용한다.
ARE는 보고서를 통해 "물론 이는 전세계적인 문제지만 아시아 국가에 특히 중요하다"며 "아시아가 축산물과 해산물을 포함한 동물성 단백질의 절반 이상을 공급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빠른 경제 성장으로 육류 소비도 급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은 육류와 해산물에서 1인당 8.9~12.3kg의 단백질을 섭취했는데 이는 기후 영양학자들로 구성된 이트-랜싯위원회(The EAT-Lancet Commission on Food, Planet, Health)의 권장량인 5.1kg을 2배 가까이 상회한다.
대안식량 비영리단체 굿푸드 인스티튜트(Good Food Institute)의 아시아지사 미르테 고스커(Mirte Gosker) 이사는 "아시아의 농장에서 동물에게 먹이는 대두의 상당부분은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에서 수입되기 때문에 이는 2배로 문제가 된다"며 "축산업 전반적인 환경 발자국을 증가시킨다"고 말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일찍부터 대체육에 주목해왔다. 많은 기후영양학자들은 "대체 단백질은 재생에너지나 일회용 플라스틱을 줄이는 것만큼이나 기후안보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보스턴 컨설팅그룹이 지난해 발표한 한 보고서에 따르면 육류 및 유제품 대체 단백질 생산에 1달러를 투자할 때마다 친환경 건물보다 7배, 무공해 자동차보다 11배 더 많은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도 대체육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굿푸드 인스티튜트에 따르면 대체 단백질에 투자한 벤처캐피탈은 2019년 10억달러에서 2021년 50억달러로 급증했다. 또 대체 단백질에 초점을 맞춘 발효기업은 2020년 6억달러에 비해 2021년에는 17억달러의 투자를 확보했으며, 대체 육류 및 해산물 기업은 2020년 4억달러에 비해 2021년에는 14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동남아시아의 주요 식품 기업들도 대체육에 주목하고 있는 추세다. 태국의 거대 식품기업 CP푸드는 싱가포르와 홍콩에서 식물성 고기인 미트 제로(Meat Zero) 브랜드를 확장했다. CP 푸드는 "이는 아시아 전역에서 대체 단백질 소비를 늘리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ARE는 보고서를 통해 "두부, 콩류와 같은 식물성 제품은 오랫동안 아시아 전통 식단의 일부였지만, 역사적으로 아시아 식문화에서 육류 대체품으로 기능하지는 못했다"며 "발상을 전환해서 이들을 육류를 대신한 단백질 공급 수단으로 만들면 잠재 가치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스커 이사도 "각국이 대체 단백질의 제조와 개발에 우선순위를 둔다면 기후위기를 막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며 "다만 생산 과정에서 대체 육류는 시설에서 전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재생 가능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문제는 정작 소비자가 대체육을 반기느냐는 것이다. 네덜란드 다국적은행 라보뱅크(Rabobank)의 식품소비 분석가인 미셸 황(Michelle Huang)씨는 "대체 단백질의 미래 성장을 결정짓는 요인은 소비자가 될 것"이라며 "현재 소비자들은 대체 단백질 소비의 주요 장벽으로 맛, 질감, 가격을 꼽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존 육류 제품과 맛과 가격이 동등하거나 거의 동등해질 수 있는 기술적 혁신은 관찰되지 않았다"며 "맛과 가격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지 않는다면 브랜드는 소비자의 초기 호기심을 반복 구매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 씨는 "대체육 생산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한데 이는 그만한 규모의 소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대체 단백질에 지나치게 집중하기보다는 지속 가능한 낙농 및 축산업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가령 낙농업 부문에서는 소의 분뇨를 전기로 바꾸는 바이오가스 발전을 통해 탈탄소화를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모두 "대체 단백질이 대중 시장 소비를 이끌기 위해서는 위해서는 연구 개발에 대한 공공 및 민간 이해관계자의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