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받으면 생기는 '원형탈모'...발병 이유 밝혀졌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7-04 10:22:54
  • -
  • +
  • 인쇄
▲국내연구진이 원형탈모 발병 핵심원리를 발견했다. (사진=한국과학기술원)

국내 연구진이 스트레스 등의 요인으로 발병하는 원형탈모증의 핵심원리를 분석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4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카이스트 전염병대비센터 센터장) 연구팀은 신의철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교수(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면역연구센터장), 석준 중앙대학교병원 피부과 교수 등과 공동으로 만성 염증질환인 원형탈모증의 발병기전을 발견하고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원형탈모는 1~2%의 유병률을 갖는 비교적 흔히 발생하는 비흉터성 자가면역성 탈모 질환으로, 모낭에 염증이 생겨 털이 빠진다. 탈모가 주로 원형으로 생기며, 두발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모든 털에서 발생할 수 있다. 

원형탈모증은 면역세포에 의해 발생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발병 기전은 지금까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는데 연구팀이 이번에 이를 밝혀낸 것이다.

연구진은 원형탈모 환자의 피부조직과 혈액, 원형탈모를 유도한 쥐의 피부와 림프절의 분석을 통해 가상기억 T세포(Virtual memory T cell)로부터 유래된 새로운 면역세포군이 원형탈모증를 유발하는 핵심 원인이라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

'가상기억 T세포'는 항원 특이적인 자극을 받지 않았는데도 면역기능이 활성화된 세포군으로, 이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감염 등을 조절하거나 암세포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연구진은 피부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이 가상기억 T세포를 활성화시켜 높은 세포독성 능력을 갖는 면역세포군으로 분화를 일으키고, 이렇게 활성화된 면역세포는 항원과 상관없이 마구잡이로 세포독성 작용을 일으켜 모낭세포를 파괴해 원형탈모증을 유발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아울러 연구진은 사이토카인과 수용체 기능을 억제하면 원형탈모증 발생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인체 내에서 만성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새로운 면역세포를 발견하고 그 특성을 밝힘으로써, 만성 염증질환 및 자가면역질환의 병인 및 치료를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카이스트 박수형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가상기억 T세포가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항원 비특이적인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후 오히려 염증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최초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나 의학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항체 치료제를 신약 개발한다면 다양한 만성 염증질환의 발생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 4대 과학기술원 공동연구프로젝트, 대한모발학회 기초분야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면역학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네이처 이뮤놀로지'(Nature Immunolog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