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었다 녹으며 '쩍쩍'...도로·건물 파괴하는 '서리 지진' 피해 커진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5-16 12:11:17
  • -
  • +
  • 인쇄
북반구에서만 나타나는 '서리 지진' 현상
기후변화로 빈도 높아지며 건축물에 피해

북반구에서 주로 발생하는 '서리 지진'이 기후변화로 더 빈번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핀란드 지질조사국(Geological Survey of Finland)의 야르코 오코넨(Jarkko Okkonen) 박사와 오울루대학교(University of Oulu)의 엠마-리이카 코코(Emma-Riikka Kokko) 박사 연구팀은 기후의 급격한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기상 현상 중의 하나가 '서리 지진'이라는 사실을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서리 지진은 토양이나 암석 내부의 물이 얼어 부피가 급격히 팽창하면서 암석 등이 갈라지는 현상으로, 그 모습이 마치 지진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리 지진은 주로 북반구에서 발생하는데 건물과 도로 등에 금이 가거나 심한 경우 붕괴되는 피해를 입힐 수 있다. 

2016년 1월 6일 핀란드 중부 오울루(Oulu)의 북극 이남 지역에 발생한 서리 지진으로 토양과 건물 기초, 도로 등이 파괴됐다. 또 최근 핀란드, 캐나다, 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서리 지진으로 인해 포장도로와 건물이 파손됐다는 보고가 줄줄이 나오고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서리 지진의 개념적 모델은 잘 알려져 있지만 서리 지진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없다"며 "서리 지진은 특별한 전조 증상이 없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예측모델의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매년 적설량과 눈의 녹는 정도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모델은 개발돼 있다. 하지만 온난화가 동토 및 서리 지진같은 현상에 미치는 영향까지 분석할 수 있는 예측모델은 없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서리 지진의 메커니즘과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라고 했다.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얼어붙은 토양, 건물, 주택, 도로에 열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큰 균열이 발생한다. 연구진은 "서리 지진은 이같은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했다. 즉 기후위기로 인한 급격한 기후변화가 서리 지진을 빈번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진들은 서리 지진과 열 스트레스 함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열 스트레스 함수는 열 팽창으로 인해 암석 등이 받는 압력을 측정가능한 함수로 표현한 것이다. 

이후 연구진들은 자체 모델을 사용해 다양한 깊이의 토양에서 눈 깊이, 눈 녹는 속도 및 토양 온도를 계산했으며, 이를 통해 온도가 급격히 감소하면 토양-얼음 혼합물의 인성 및 강도보다 높은 열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연구진들은 "서리 지진의 원인은 기온이 -12℃~-29℃로 급격히 떨어지면서 얼어붙은 토양과 도로에 열 스트레스가 발생해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오코넨 박사는 총회에서 "많은 연구들은 지구온난화가 북극에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북극은 지구상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빠르게 온난화되고 있다고 말한다"며 "그러나 지구의 고르지 않은 온난화, 특히 북극과 북극 이남 환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논문은 지난달 열린 2023년 유럽지구과학연합 총회(2023 European Geosciences Union General Assembly)에서 발표됐으며, 유럽지구과학연합 총회 홈페이지에 게재돼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KT, 생물다양성 보전 나선다...수달서식지 '원동습지'에서 첫 활동

KT가 습지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에 나선다.이를 위해 KT는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이스트에서 국립생태원과 기후변화로 급감하고 있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기후/환경

+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북극이 스스로 지구온난화를 늦춘다?..."기후냉각 성분이 방출"

북극에서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자연적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북극은 온난화 속도가 중위도보다 3~4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씨] 다시 찾아온 장마...이틀간 수도권 최대 200㎜ '물폭탄'

13~14일 이틀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지겠다.남쪽에서 북태평양고기압과 제11호 태풍 '버들'이 밀어올리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북쪽에서

경기도, 호우 대비 13일 오전 6시 '비상1단계' 발령

13일 오전부터 14일 오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낙뢰와 돌풍을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전 6시부로 재난안전대책본

확진자가 1만6500명...기후변화로 태평양 섬나라 '뎅기열' 급증

기후위기로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태평양 국가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국가비상사태로까지 번지고 있다.12일 세계보건기구(WHO)는 태평양 섬나라

부글부글 끓는 지중해...유럽 전역 산불과 40℃ 폭염에 '신음'

유럽 전역이 역대급 폭염과 산불에 신음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4세 어린이가 열사병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고, 프랑스에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