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세계 전기차 '블랙홀'..."현대차, 지금이 기회"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5-11 18:02:52
  • -
  • +
  • 인쇄
지난해 中전기차 판매량 2700만대 '33%'
"현대차 전기차 계획 앞당겨 中공략해야"
▲중국 쑤저우 태창항 국제컨테이너터미널 (사진=연합뉴스)


전세계 자동차의 3분의 1이 팔리는 중국이 전기차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어 현대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업계도 중국을 겨냥하고 전기차 전환시점을 앞당겨야 한다는 분석이다.

그린피스가 11일 발간한 '내연차 강자들, 중국시장에서 점유율 일제히 하락 위기'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가 목표하는 글로벌 톱3에 진입하려면 전세계 자동차 판매량의 33%를 차지하는 중국에서 점유율 확대가 필수라고 진단했다. 지난해 전세계 자동차 판매량은 8000만대로, 이 가운데 2700만대가 중국에서 팔렸다.

또 현대차가 중국에서 자동차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전기차 비중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짚었다. 현재 중국 자동차 시장은 전기차 중심으로 급속도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2030년까지 전기·수소 등 친환경 자동차 비중을 40%로 목표하고 있지만 이를 조기달성할 확률이 매우 크다. 지난해 중국에서 판매된 자동차 가운데 25%(689만대)가 친환경 차량이었고, 이는 2025년 친환경 차량 비중을 20% 달성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목표를 3년 이상 앞당긴 결과다.

이에 따라 내연차 생산비중이 큰 완성차업체는 피해규모도 그만큼 커질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 비중이 40%로 늘어나는 2030년에 이르면 BMW와 벤츠, 폭스바겐 등 외국계 완성차업체들은 중국 시장 점유율이 2019~2021년 3년 평균치와 비교해 0.5~2% 하락한다. 반면 중국 토종 자동차업체들의 점유율은 2~3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9~2021년(진보라)과 2030년(연보라) 중국 내 11개 완성차업체 시장점유율 비교. 위 그래프는 중국에서 전기차 비중이 40%일 때 업체별 예상점유율이고, 아래 그래프는 점유율이 70%일때 예상점유율 추이다. (자료=그린피스)


중국의 친환경 차량 비중이 높아질수록 내연차 공장 가동률이 낮아지는 것도 문제다. GM은 내연차 공장 가동률이 52.5%로 떨어지면서 178만대 생산설비가 좌초자산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폭스바겐 역시 142만대 생산설비가 유휴시설이 돼 버린다. 중국내 친환경 차량 판매 비중이 70%에 이르면 GM의 공장가동률은 26.2%로 추락해 277만대 생산설비가 가동을 멈추고, 폭스바겐(공장가동률 33.5%)은 287만대 생산설비가 좌초자산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현대차는 2022년 중국내 시장점유율이 1.6%에 불과하고, 친환경 차량 생산 자료도 공개되지 않아 이번 조사대상에서 제외됐지만 2030년 전기차 판매목표를 364만대로 설정한 현대차가 글로벌 톱3 도약을 달성하려면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점유율 확대가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고서는 진단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는 지금이 현대차가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지만, 현대차의 전기차 전환 시점은 이에 비해 너무 늦고, 행보에 일관성도 없다는 지적이다. 현대차는 2040년 중국에서 내연차 판매를 중단한다고 해놓고, 지난달 상하이 모터쇼에서 내연차인 '더뉴 엘란트라N'과 '무파사'를 대대적으로 마케팅했다는 점을 단적인 예로 들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그린피스 항바오 베이징사무소 캠페이너는 "폭스바겐, GM, 토요타같은 글로벌 자동차업체들도 내연차 중심의 생산 및 판매전략을 유지할 경우 중국에서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그린피스 최은서 서울사무소 캠페이너는 "현대차는 지금이라도 중심을 잡고 100% 전기차 판매 계획을 앞당겨 대응해야 한다"며 "그래야 글로벌 위상을 높이고 친환경차 경쟁력도 강화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기후/환경

+

녹색철강, 수요 있어야 전환도 있다..."정부가 공공조달 물꼬 틔워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정부의 녹색철강 수요 창출이 전환을 이끄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

'양산' 쓰는 남자가 늘고 있다..."사막같은 햇빛 그늘막으로 제격"

여자들만 주로 사용하던 '양산'이 38℃를 넘나드는 폭염에 남자들도 여름 필수템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

AI로 탄소포집하는 콘크리트 찾아냈다

수백 년간 공기 중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찾아냈다.23일(현지시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비터비공과대

불볕더위 '아차'하면 온열질환에 쓰러져...폭염 안전수칙은?

전국 곳곳에 폭염경보 혹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폭염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폭염주의보는 최고 체감온도 33

EU·중국 '기후리더십' 주도권 노리나?…'기후협력' 공동성명 채택

미국과 대척점에 서있는 중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기술을 공동보급하기로 하는 등 협력관계를 더욱 밀착시키고 있다.24일(

산불 1년만에 한달 두차례 홍수...美 뉴멕시코주 마을의 수난

미국 뉴멕시코주 루이도소 마을이 또 물에 잠겼다. 이달에만 벌써 두번째 홍수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루이도소 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