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벌이 무리에서 경험 많은 다른 벌의 행동을 보고 따라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갖춘 것으로 밝혀졌다.
영국 퀸메리 런던대 라즈 치트카 감각·행동생태학 교수 연구진은 호박벌이 먹이활동 과정에서 군집 내의 특정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사회적 학습능력을 갖췄다는 사실을 연구를 통해 입증했다.
연구진은 "벌들은 영장류와 같은 사회적 동물처럼 구성원의 행동을 따라하는 학습능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면서 "이런 학습능력이 유전적이나 선천적일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이는 틀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적색 탭은 시계 방향, 청색 탭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밀 때 먹이에 접근할 수 있는 두 가지 해결책을 가진 퍼즐 상자를 고안한 뒤 총 6개 호박벌 군집을 대상으로 6~12일에 걸쳐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조교'역으로 선별된 호박벌을 훈련시켜 적색이나 청색 탭을 밀어 먹이를 얻는 행동을 익히게 한 뒤 다른 호박벌들과 함께 퍼즐 상자에 넣었다. 그러자 조교의 시범을 본 호박벌들이 행동을 똑같이 따라하기 시작했다.
조교 호박벌이 적색 탭을 민 군집은 적색을 밀고, 청색 탭을 민 군집은 청색을 밀었다. 초기에는 호박벌 사이에서 두 가지 선택이 혼용되다가 마지막에는 조교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는 벌들이 전체 군집의 98.6%에 달했다.
미리 훈련된 조교가 없는 군집에서도 일부 호박벌이 먹이를 얻는 데 성공하기는 했지만, 성공률은 아주 낮았다. 조교가 있는 군집은 하루 평균 28개의 퍼즐을 풀었지만 조교가 없는 군집에서는 하루평균 1개밖에 풀지 못했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는 영장류나 조류에서 나타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호박벌 사이에서도 '사회적 학습'이 새로운 행동을 전파하는데 중요하다는 사실을 드러낸 것이라고 봤다.
치트카 교수는 "벌이 다른 벌의 행동을 보고 배워 행동 습관을 형성한다는 점은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똑똑하다는 뜻"이라며 "이번 연구는 새로운 혁신이 군집 내에서 소셜서비스(SNS) 유행(밈)처럼 확산할 수 있어 호박벌이 완전히 새로운 환경적 도전에 수세대에 걸친 진화적 변화보다 훨씬 더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PLOS)이 7일(현지시간) 발행한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 최신호에 소개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