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되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2040년 200조로 커진다

허줄리 기자 / 기사승인 : 2023-02-13 14:51:03
  • -
  • +
  • 인쇄
전세계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의무화 추세
재활용으로 핵심소재 수입의존 낮출 수 있어
▲ 영풍의 건식 용융로 폐배터리 재활용 시험공장 (사진=연합뉴스)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시장이 2040년에 이르면 약 2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13일 에너지전문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한 전기차 판매대수가 늘어나면서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2030년 60조원, 2040년에는 약 200조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놨다.


폐배터리가 처리되지 않을 경우 유독가스로 인한 환경문제와 폭발위험 등이 있어 각 정부에서는 관련 규제를 내놓고 있다. 유럽의 경우 2030년부터 배터리 규제를 통해 폐배터리 재활용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이에 많은 기업들은 폐배터리를 활용한 사업에 뛰어들고 있고, 국내에서는 성일하이텍과 포스코, 에코프로, 고려아연 등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하고 있다.

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폐배터리의 재활용과 배터리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인 스크랩의 재활용으로 나뉠 수 있다. 폐배터리는 재사용(Reuse) 또는 재활용(Recycling)되지만, 배터리 제조시 발생한 스크랩은 전량 재활용된다.

전세계 전기차 폐차 대수는 2025년에 이르면 56만대로 늘어나고, 2030년에 411만대, 2035년에 1784만대, 2040년 4277만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폐배터리도 2025년 44기가와트시(GWh)에서 2030년 338GWh, 2035년 1329GWh, 2040년 3339GWh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글로벌 전기차(BEV+PHEV) 폐차 대수·폐배터리 발생량 전망 (자료=SNE리서치)


폐배터리는 배터리 진단을 통해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른 용도로 재조립해서 사용할지, 배터리에서 니켈, 코발트, 리튬 등을 추출해 재활용할지 결정된다. 전기차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성돼 있는데, 리튬이온 배터리 가격은 대부분 양극재 가격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

SNE리서치는 "양극재의 주요 광물인 니켈, 코발트, 망간, 리튬의 경우 해외 수입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핵심 소재의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