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핵 날리자"…'트럼프의 불장난' 사실이었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3 12:13:46
  • -
  • +
  • 인쇄
존 켈리 전 비서실장 후일담 공개
"대북 선제타격 비공개 논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미국 대통령이 재임시절 북한을 핵무기로 공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선제타격 하는 방안을 비공개회의에서 제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NBC방송은 12일(현지시간) 2020년 출간된 '도널드 트럼프 대 미국'(Donald Trump v. the United States)의 저자 마이클 슈미트(Michael Schmidt) 뉴욕타임스(NYT) 기자가 펴낸 후기를 입수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이 후기에는 2017년 7월부터 2019년 1월까지 트럼프 행정부 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낸 존 켈리(John Kelly)의 재임기 활동 면면이 상세하게 담겼다.

슈미트의 후기에 따르면 북한 핵무기 공격에 대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은 지난 2017년 켈리 전 비서실장이 취임한지 8일 만에 나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당시 '화염과 분노'(fire and fury)라는 발언으로 잘 알려진 호전적 태도를 내비치고 있었다. 그는 그해 9월 유엔 총회 연설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로켓맨'이라고 칭하며 북한의 미사일 시험 등 도발이 계속되면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겠다"고 협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켈리 전 비서실장이 실제로 고민하는 사안은 오히려 보이지 않는 다른 곳에 있었다고 슈미트는 강조했다.

슈미트는 "켈리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트윗(개인 소셜미디어 게시글)보다 두려워했던 건 트럼프 대통령이 전쟁을 하고 싶은 것처럼 대통령 집무실 안에서 비공개로 계속 얘기했다는 사실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트럼프가 '자신이 북한을 겨냥해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조치를 취한다면 행정부는 책임을 피하기 위해 다른 누군가를 탓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대북 핵무기 사용 구상을 무신경하게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슈미트에 따르면 켈리 전 비서실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여러 이유를 들어 그런 행위가 있어선 안된다고 설득하려 노력했다. 켈리 전 실장은 당시 "우리 소행으로 지목되는 것을 막기는 힘들다"고 트럼프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군 최고 지도자들까지 백악관으로 불러 모아 미국과 북한 사이 전쟁이 얼마나 쉽게 벌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한 피해가 엄청나다고까지 설명했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을 수 있는지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슈미트는 전했다. 당시 한국과 미국에서는 대북 선제타격시 한반도에서 발생할 한국과 미국 군인, 민간인의 인명피해 규모 추산치가 주목받은 바 있다.

슈미트는 켈리 전 실장이 경제적인 후폭풍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해 겨우 트럼프의 관심을 붙들 수 있었다고 썼다. 그는 "트럼프는 그 뒤에 또다시 전쟁이 가능하다는 태도로 돌아와 한때 켈리에게 북한을 선제타격할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 무렵 북한의 구두 도발에 맞서 핵위협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공개적으로 한 바 있다. 그는 2018년 1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북한 김정은이 자기 책상에 핵버튼이 항상 있다고 방금 말했다"며 "나도 핵 버튼을 가지고 있고 김정은보다 훨씬 크고 강력한 데다가 실제 작동하기도 한다고 누가 좀 알려주라"고 말했다.

슈미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비공개 발언들이 북한 정보원에게 흘러갔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친구나 지인들에게 북한에 무력을 사용하기를 얼마나 원하는지에 대해 보안 장치도 없는 전화기로 얘기했다는 점에 백악관 보좌진이 경악했다고 전했다.

슈미트는 "켈리는 트럼프에게 친구들과 기밀을 공유해선 안 된다는 점을 알려줬어야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KT, 20번째 ESG보고서 발간…"AICT 기반 ESG 전략 구체화"

KT가 인공지능(AI) 기반 ESG 실천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년 KT ESG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AICT(인공지능과 정보통신

기후/환경

+

8800만불 들여 쏜 메탄 추적위성 '메탄샛' 발사 1년만에 고장

지구의 메탄 배출량을 추적하는 위성 '메탄샛'(MethaneSAT)이 발사 1년만에 고장으로 임무가 중단됐다.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고정밀 메탄 배출 데이터를

무상할당제 폐지한 EU..."손실 기업들 CBAM 수익으로 보존"

2040년까지 탄소배출량 90% 감축목표를 내세운 유럽연합(EU)이 탄소배출 무상할당제 폐지로 손실을 보는 EU 기업들에 대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수익을

폭염도 보험되나요?...전세계 도입 '논의' 경기도는 이미 도입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폭염보험'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가 전 도민을 대상으로 '기후보험' 시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빙어..."대체 어종 조성해야"

기후변화로 평택시 남양호에서 빙어가 사라졌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올 3월 남양호 3개 지점에서 빙어 서식 여부를 조사한 결과 더 이상 빙

美 사회인프라 기후저항성 'C등급'...폭염에 다리도 통신·전력망 타격

기후변화가 미국의 사회기반시설을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극한폭염으로 다리가 녹고, 통신과 전력망도 타격을 입고 있다는 것이다.미국 토목학

日 도카라열도서 또 '지진'...6월부터 900회 '흔들'

7월 대지진설이 돌고 있는 일본에서 소규모 지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2일 일본 기상청은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 해역에서 오후 3시 26분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