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에 여의도 11배 밀원숲…집 나간 꿀벌 돌아올까

전찬우 기자 / 기사승인 : 2022-12-27 18:21:07
  • -
  • +
  • 인쇄
5년간 800만 그루 조성
꿀벌 개체수 복원 안간힘
▲충남 밀원숲 조성지 전경 (사진=충청남도 홈페이지)

충청남도가 실종·폐사 등으로 급락한 꿀벌 개체수를 복원하기 위해 여의도 면적의 11.6배에 달하는 대규모 '밀원숲'을 조성했다.

충청남도는 2018년부터 약 5년동안 3379만9000㎡의 밀원숲을 조성하고 해당지역에 800만 그루가 넘는 밀원수를 심었다고 27일 밝혔다. 밀원수는 꿀벌이 주로 꿀을 채취하는 식물이다.

기존 목표인 2579만㎡에 비해 31%를 초과달성했다. 시·군별로 보면 △금산(609만6000㎡) △공주(387만2000㎡) △논산(294만6000㎡) △부여(277만9000㎡) △청양(251만8000㎡) 순이다.

수종별 면적은 △백합나무 1212만㎡(338만4500그루) △헛개나무 802만4000㎡(228만6900그루) △옻나무499만3000㎡(87만4400그루) △밤나무 190만7000㎡(8만5900그루) 순이다. 이밖에 아까시나무, 쉬나무, 음나무 등도 심었다.

충청남도는 2023~2027년에 2905만㎡의 밀원숲을 추가 조성한다. 마을 공한지 등 유휴토지를 활용하며 밀원수 종류도 늘리기로 했다. 대부분의 꽃들이 주로 봄에 피는 점을 고려해 여름에 꽃이 피면서도 꿀의 양이 많은 쉬나무 등 새로운 수종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충남지역 양봉농가 수는 2020년 기준 2400가구로 전국 2만7400가구의 9.1%다. 사육 양봉군수는 26만8000군으로 전국 267만9000군의 10%를 차지한다. 2020년 꿀 생산량은 1만톤으로 집계됐다.

꿀벌 실종·폐사는 비단 충청남도만의 문제가 아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초 국내에서 집단실종되거나 폐사한 꿀벌 개체수를 78억마리로 추정했다. 전체의 16% 수준이다. 한국양봉학회는 사태의 원인으로 이상고온·한파 등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를 지목했다.

꿀벌 개체수 복원이 중요하게 다뤄지는 이유는 전세계 수분(受粉)의 70% 이상을 담당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연간 50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대한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꿀벌이 멸종한다면 인류는 고작 4년밖에 살지 못할 것이다. 벌이 없으면 식물도 없고, 동물도 없고, 사람도 없다"고 말한 바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기후/환경

+

'양산' 쓰는 남자가 늘고 있다..."사막같은 햇빛 그늘막으로 제격"

여자들만 주로 사용하던 '양산'이 38℃를 넘나드는 폭염에 남자들도 여름 필수템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

AI로 탄소포집하는 콘크리트 찾아냈다

수백 년간 공기 중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찾아냈다.23일(현지시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비터비공과대

불볕더위 '아차'하면 온열질환에 쓰러져...폭염 안전수칙은?

전국 곳곳에 폭염경보 혹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폭염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폭염주의보는 최고 체감온도 33

EU·중국 '기후리더십' 주도권 노리나?…'기후협력' 공동성명 채택

미국과 대척점에 서있는 중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기술을 공동보급하기로 하는 등 협력관계를 더욱 밀착시키고 있다.24일(

산불 1년만에 한달 두차례 홍수...美 뉴멕시코주 마을의 수난

미국 뉴멕시코주 루이도소 마을이 또 물에 잠겼다. 이달에만 벌써 두번째 홍수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루이도소 일

폭염에 차량 방치하면 실내온도 90℃까지...화재·폭발 막으려면?

차량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90℃까지 치솟으면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폭염시 차량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5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