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가 '환경지킴이'…한 마리가 年 33톤 탄소흡수

전찬우 기자 / 기사승인 : 2022-12-20 08:01:02
  • -
  • +
  • 인쇄
연구진 "현재 130만마리 고래 개체수 늘려야"

탄소배출량보다 탄소흡수량이 더 많아 '탄소싱크'(Carbon sink)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동물인 고래 개체수를 늘려 기후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와 이목을 끈다.

지난 15일자(현지시간) 환경저널 '생태와 진화의 트렌드'(Trends in Ecology & Evolution)에 지구온난화를 막는 탄소흡수원으로서 고래의 역할을 규명한 연구보고서가 게재돼 눈길을 끌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거대한 고래는 매년 평균 33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연간 최대 22㎏의 탄소를 흡수하는 나무에 비해 압도적이다.

2019년 기준 전체 고래 개체수는 130만마리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만약 포경(Whaling) 이전수준인 400~500만마리로 개체수가 회복된다면, 고래가 흡수하는 총 이산화탄소량은 일부 국가의 탄소감축 목표치에 필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고래의 배설물에는 크릴과 플랑크톤의 생장을 돕는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이는 바다의 총 광합성량을 늘려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그동안 기후대응을 위한 자연기반 해결책은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나무와 습지에 집중됐다. 이번 연구는 고래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해양생태계 보존과 기후변화 대응을 동시에 겨냥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다.

다만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의 활용에 있어 다소 신중한 입장이다. 아직 과학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들이 많기 때문에, 고래의 탄소흡수량을 완벽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고래에만 의존하는 것이 옳지 않으며 이미 검증된 온실가스 저감정책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현재 고래는 해수온도상승으로 인해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했다. 상업적인 포경은 금지된지 오래지만 여전히 많은 수의 고래가 인간의 욕심으로 인해 희생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