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냐, 조류보호냐...독일, AI충돌방지 도입 놓고 '갈등'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9-22 08:50:02
  • -
  • +
  • 인쇄
▲독일에서 130쌍밖에 남지않은 야생독수리 '작은점무늬수리' (사진=위키백과)


독일에서 새들이 풍력터빈에 부딪혀 죽는 것을 막기 위해 인공지능(AI)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독일 정부가 환경보호법 개정을 앞두고 AI '충돌방지시스템(anti-collision systems)' 도입을 추진하자, 독일풍력에너지협회(BWE) 등이 거세게 반발하며 소송까지 불사할 기세다. 이에 독일 정부는 재생에너지를 높일 것인지, 새를 구할 것인지를 놓고 양자택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현재 독일 정부는 육상 풍력발전소를 대규모로 확장하고 있다. 러시아 천연가스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던 독일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에너지대란을 겪기 시작했다. 이에 독일 정부는 향후 8년간 국가전력의 8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목표아래 국토의 2%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실현하려면 독일은 2030년까지 1만6000개에 달하는 풍력터빈을 전 국토에 세워야 한다.

문제는 풍력터빈을 설치하는 구역이 야생독수리 '작은점무늬수리' 활동지와 겹친다는 점이다. 작은점무늬수리는 전세계적으로 4만~6만마리가 살고 있지만 독일에서는 1990년대 이후 산림과 습지대가 줄어들면서 개체수가 4분의1로 급감해 현재 130쌍만 서식하는 희귀종이다. 

작은점무늬수리는 비행하면서 사냥할 때 먹잇감에만 시선을 고정한다. 그러다보니 작은점무늬수리는 수직으로 높게 서 있는 풍력터빈을 인식하지 못하고 부딪혀 죽는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풍력터빈에 부딪혀 죽은 작은점무늬수리는 8마리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작은점무늬수리 활동지에 풍력터빈이 설치되면 희생되는 개체수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미국 아이덴티플라이트(IdentiFlight)가 개발한 AI충돌방지시스템. 특정조류 이미지 수십만장을 입력하면 학습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풍력터빈에 접근하는 조류를 인식해 터빈에 경고를 보낸다. (사진=아이덴티플라이트)


이에 독일 정부는 풍력터빈에 이 야생독수리들이 부딪혀 죽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I '충돌방지시스템'(anti-collision systems)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미국 아이덴티플라이트(IdentiFlight)가 개발한 신경망네트워크다.

이 시스템은 특정 조류의 이미지 수십만장을 입력하면 이를 학습한 알고리즘이 특정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10m 높이에 위치한 카메라가 작은점무늬수리가 접근하는 것을 미리 감지하는 것이다. 작은점무늬수리 접근이 감지되면 풍력터빈은 20~40초 이내에 회전율을 1분당 2회 이하로 늦춰 새가 천천히 움직이는 풍력 날개 사이를 안전하게 통과하도록 만든다. 카메라의 인식거리는 최대 750m다. 

아이덴티플라이트는 지난 3년간 독일 6개 지역에서 이 충돌방지시스템을 시험가동했다. 첫 시험대상이었던 붉은솔개의 인식율은 90% 이상이었다는 게 아이덴티플라이트의 설명이다. 안개가 끼거나 비나 눈이 오면 인식효율이 떨어질 수 있지만 해당 업체는 이런 날씨는 맹금류 역시 가시성이 떨어져 사냥활동을 거의 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 시스템은 2023년 검증을 거쳐 승인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관련 법안 도입을 앞두고 독일풍력에너지협회(BWE) 등이 거세게 반대하면서 법정소송까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상 작은점무늬수리 번식기 내내 터빈을 꺼야 하는 셈인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업계 측은 에너지생산 감소폭이 4~8%에 이를 경우 로터블레이드를 정지상태로 유지할 수 없다고 밝혔다. 게다가 이렇게 시스템을 설치해도 업체 측에서 추가로 조류보호조치를 취해야할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자연보호담당자는 "이 시스템이 터빈건설업체에 도움이 아닌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변호사는 "관련 법안이 유럽 환경법을 위반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울프람 엑스트헬름(Wolfram Axthelm) BWE협회장은 "기후변화를 완화하고 환경 전체를 보호하기 위해 풍력발전소를 건설할지, 모든 새를 구할지 생각해야 한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KT, 생물다양성 보전 나선다...수달서식지 '원동습지'에서 첫 활동

KT가 습지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에 나선다.이를 위해 KT는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이스트에서 국립생태원과 기후변화로 급감하고 있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기후/환경

+

경기도, 호우 대비 13일 오전 6시 '비상1단계' 발령

13일 오전부터 14일 오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낙뢰와 돌풍을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전 6시부로 재난안전대책본

확진자가 1만6500명...기후변화로 태평양 섬나라 '뎅기열' 급증

기후위기로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태평양 국가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국가비상사태로까지 번지고 있다.12일 세계보건기구(WHO)는 태평양 섬나라

부글부글 끓는 지중해...유럽 전역 산불과 40℃ 폭염에 '신음'

유럽 전역이 역대급 폭염과 산불에 신음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4세 어린이가 열사병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고, 프랑스에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

남극서 66년전 실족사한 영국인...빙하 녹으면서 유해 발견

남극 빙하가 녹으면서 66년전 사고로 사망한 영국인의 유해가 드러났다.11일(현지시간) 영국 남극조사국(BAS)은 최근 BAS의 전신이었던 포클랜드제도조사

[날씨] 또 시작된 '폭우'...화요일 '남부' 수요일 '중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또다시 강한 빗줄기가 예보돼 있다.화요일인 12일은 남부지방과 제주도에서 비가 내린다. 전남 고흥군·여수시·완도군

日 규슈 400mm '물폭탄'…잠기고 무너지고 '아비규환'

11일 일본 규슈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침수와 산사태, 하천 범람 피해가 잇따르며 사망·실종자가 속출했다. 일본기상청은 구마모토현 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