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기 직전 걸러주는 장치
얼마전 호주에서 구조된 새끼 바다거북은 6일동안 플라스틱만 배설했다. 국내 연안에서 발견된 바다거북 사체에서도 비닐봉지와 끈 등의 플라스틱이 소화관에서 나왔다. 이외에도 지느러미나 목에 마스크가 걸린 해양생물들에 대한 보도는 끊이지 않고 있다. 모두가 인간이 버린 쓰레기들이다. 바다로 흘러간 쓰레기들은 현재 태평양 한가운데 거대한 '쓰레기섬'이 됐다.
해양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해양쓰레기는 결국 하천에서 흘러들어간 것이 70~80%에 이른다. 우리나라도 하천을 통해 발생하는 해양쓰레기가 연간 15만톤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해양쓰레기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 장비를 개발한 국내 스타트업이 있다. 2017년 1월 설립된 '포어시스'(Foresys)가 바로 그 주인공.
포어시스의 원종화(41) 대표는 "쓰레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우리나라의 바다를 보다가 업무차 방문한 호주에서 해양쓰레기가 없는 것을 보고 매우 놀랐다"면서 "우리나라도 해양쓰레기를 없애려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쓰레기를 걸러내야 한다는 생각에서 창업을 결심하게 됐다"고 말했다. 원 대표는 대우조선해양 재직시절 바다속 구조물을 연구하던 경험을 살려, 세계 처음으로 해양쓰레기 차단시설 개발에 덜컥 뛰어들었다.
그러나 차단시설 개발은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전세계적으로 적용된 사례가 없다보니, 관련 기술도 없고 참고할만한 것도 없었기 때문이다. 포어시스는 3년의 연구끝에 해양쓰레기 차단시설 장비를 마침내 개발했다. 이 차단시설은 바다와 맞닿은 하천 하구에 설치해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기 직전에 걸러주는 장치다.
가늘고 긴 띠 모양의 장치는 하천폭의 절반 이하로 맞춰 제작할 수 있다. 또 높이는 70cm 정도로, 바다 위를 둥둥 떠내려오는 쓰레기들을 잡아준다. 원 대표는 "해양쓰레기가 흐르는 경로를 분석해 선박 운행을 방해하지 않는 최적의 위치에 설치한다"고 설명했다.
해양쓰레기는 물길을 따라 해양쓰레기 차단시설 옆에 설치된 쓰레기통으로 들어간다. 이 쓰레기통은 배를 통해서 수거하거나 육지에서 크레인을 이용해 수거한다. 차단시설은 해양쓰레기 무게를 80톤까지 견딜 수 있다.
원 대표는 "차단시설은 걸러낸 쓰레기의 양과 종류 등을 구분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면서 "이 장치가 설치된 하천에서는 플라스틱이나 비닐, 병 등의 비율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해양쓰레기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해 해양쓰레기 발생량과 종류를 분석해 재활용을 더 원활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하천을 공유하는 지자체나 국가들이 쓰레기 처리비용을 분담하는 정량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 차단시설은 현재 진행중인 부산, 충남, 경기 사업에 앞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 하천실험센터에서 실대형 실험을 거치게 된다. 이 실증단계에서 문제가 없으면 내년 1월부터 충청남도와 부산, 경기도에 설치될 예정이다. 원 대표는 "안동실험센터에 하천을 모사한 단지가 있다"며 "이곳에서 실증단계를 거친 후 승인을 받은 국내 하천에 차단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포어시스의 사업은 단순히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일에만 그치지 않는다.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완전히 재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이 회사는 수거된 해양쓰레기의 소금기를 제거하는 '포어소닉' 장비도 개발했다. 포어소닉은 소금기를 씻어내고 탈수하는 이동식 초음파 전처리 시설이다. 마치 초음파로 안경을 청소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원 대표는 "쓰레기가 바다에 오래 머물면 소금기가 많아져 재활용이 어려워진다"면서 "따라서 수거한 쓰레기에서 최대한 빨리 소금기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포어시스는 '포어소닉'을 트럭에 싣고 다닐 수 있도록 이동식 컨테이너 모양으로 개발했다.
원 대표는 "해양폐기물 처리비용은 육상 폐기물보다 2.5배~4배 정도 비싸다"며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해양쓰레기를 빨리 세척하지 못하면 사회적 비용이 오히려 더 증대한다"고 강조했다. 포어시스는 이렇게 수거한 해양쓰레기 가운데 플라스틱을 직접 재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 회사는 또 버려지는 폐어망·폐어구, 패각(조개껍데기)을 활용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약 4만4000톤의 플라스틱 폐어망이 바다에 버려져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포어시스는 수거한 폐어망을 활용해 지난해 소셜벤처 트리플래닛과 함께 콘크리트 화분인 '푸른바다화분'을 제작하기도 했다. 앞으로는 폐어망과 패각을 활용해 건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도 만들어볼 예정이다.
원 대표는 "해양쓰레기가 끊임없이 해양동물과 환경을 위협하고 있어 이를 철저히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국내 3000개의 하천에 해양쓰레기 차단시설을 설치하고 폐어망 등을 활용한 물건 제작에 더욱 힘쓸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