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기업] 종이로 만든 가구..."성인 2명 무게도 거뜬하죠"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7-20 11:01:02
  • -
  • +
  • 인쇄
페이퍼팝 '환경과 가성비' 모두 잡았다

▲ 종이로 만든 책장을 들어보이는 박대희 페이퍼팝 대표 


서울 강남에 위치한 페이퍼팝에 들어서자 곳곳에 종이로 만든 가구들로 가득차 있는 사무실 전경이 눈에 들어왔다. 종이로 만든 노트북 거치대, 종이로 만든 칸막이, 종이로 만든 책장. 국내 유일의 종이가구 회사의 명성만큼 온 공간이 종이들로 가득했다. 사무실 한켠에는 골판지들이 천장까지 쌓여있어 이곳이 택배센터인지 사무공간인지 순간 헷갈렸다. 

특히 수십권의 책들이 꽂혀있는 책장이 눈에 띄었다. 종이로 만든 책장이 저렇게 많은 책들의 무게를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신기하게 바라보는 기자에게 한 직원이 살짝 다가와 "종이가구는 최대 150kg의 무게를 견딜 수 있다"며 빙긋 웃었다.

일반적으로 '종이 가구는 견고할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 마련이다. 아무래도 종이는 쉽게 찢어지고 무게에 약하다는 선입견 때문일거다. 또 종이 가구는 물에 약하지 않을까 하는 의심도 든다. 하지만 페이퍼팝에서 제작한 종이 가구들은 이런 선입견을 무참히 깨트렸다. 나무로 만든 가구만큼 단단할 뿐만 아니라 표면에 방수처리를 해서인지 물에도 강하다.

2018년 국내 최초로 종이 가구회사인 '페이퍼팝'을 설립한 박대희(35) 대표는 종이로 가구를 만들기로 작정한 동기를 묻자 "환경에 대한고민의 결과"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사를 한번씩 할 때마다 사용하던 가구를 버리는 경우가 많다"며 "버려진 가구들은 대부분 소각되거나 매립되는데 이는 엄청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고 했다.

페이퍼팝의 타깃은 명확하다. 이사를 자주 해야 하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박 대표는 "이사가 잦은 1인가구들이 버리는 가구 양은 어마어마하다"며 "종이가구를 사용한다면 버리는 가구들을 모두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1인가구를 타깃으로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율은 전체 2092만가구의 31.7%에 달한다. 

▲ 종이의자 메가토트(왼쪽 위), 종이 책장(오른쪽 위), 종이침대(왼쪽 아래), 종이의자 채셔(오른쪽 아래)


종이가구 사용처는 의외로 다양했다. 일상속 가구 외에도 축제나 전시회 등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박대희 대표는 "종이로 만든 가벽이나 책상 등을 사용하면 전시회가 끝나도 쓰레기로 버리지 않아도 된다"면서 "전시회 기간에 사용한 종이 가구와 물품은 다시 수거해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래서일까. 페이퍼팝 제품들은 기업 주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페이퍼팝은 현재 34종의 제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한다.

페이퍼팝의 종이가구 재활용률은 무려 95%에 달한다. 재활용률을 우선 순위에 두고 제품을 만들기 때문이다. 박 대표는 "재활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웬만한 가구는 염색을 하지 않는다"면서 "또 코팅도 겉면만 하고 안쪽에는 모두 재생 골판지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자석이나 부가적인 플라스틱들은 오려낼 수 있다.

실제로 전시회 폐기물은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전시회를 마치면 수백톤의 종이, 목재, 가죽, 나일론, 스티로폼, 플라스틱 등이 배출되는데 이를 소각하면 다이옥신, 납, 수은 등의 독성물질이 발생한다. 부스 1개에서 나오는 폐기물의 양은 270kg에 달할 정도다.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서 발생하는 전시폐기물은 1회당 평균 20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축제에서 사용됐던 가구들도 대부분 폐기처분된다. 이에 페이퍼팝은 접이식 종이의자를 만들었다. 의자의 등받이는 평평하게 접어서 다시 사용할 수 있고, 100% 재활용 가능하다. 페이퍼팝은 재즈축제를 비롯해 한강몽땅축제 등에 이 의자를 납품했다.
 

▲페이퍼팝 직원은 "목재로 만든 책장처럼 여러 권의 책들을 꽂아도 하중에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newstree


일본은 이미 종이가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쿄올림픽에서 골판지 침대로 전세계의 조롱을 사기도 했지만 일본 국민들 실생활에선 종이가구가 흔하게 쓰인다. 박 대표는 "종이가구는 국내에선 생소하지만 일본에서는 이미 50년전부터 제작돼 왔다"며 "그런 일본 소비자들이 페이퍼팝 제품을 찾는다"고 자랑했다. 그 이유는 일본 종이가구 제품보다 저렴하고 품질이 좋기 때문이라고.

페이퍼팝 가구들은 자동차 엔진 블록이나 수출용 중화물 포장재에 사용되는 고배합 골판지로 만든다. 이 골판지는 일반 택배상자보다 2배에서 3배 튼튼하다. 박 대표는 "나무만큼 단단한 소재로 저렴하게 만드는 것이 페이퍼팝만의 전략"이라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게다가 트렌디한 디자인도 강점이다. 실제로 종이 침대의 가격은 7만9000원으로 유명가구 브랜드인 이케아보다 50%~70% 저렴하다. 

박 대표는 "앞으로 1인가구뿐 아니라 일반 가구 시장을 겨냥한 제품도 개발할 예정"이라며 "전시용품이나 펫용 등 다양한 제품으로 일본뿐 아니라 유럽과 미국 등지에 수출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제약 임직원, 청주 미호강서 플로깅 캠페인 진행

셀트리온제약은 28일 충북 청주 미호강에서 플로깅(Plogging) 캠페인 '셀로킹 데이(CELLogging Day)'를 진행했다고 밝혔다.플로깅은 '이삭을 줍다' 뜻의 스웨덴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자사주 없애기 시작한 LG...8개 상장사 "기업가치 높이겠다"

LG그룹 8개 계열사가 자사주 소각, 추가 주주환원 등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계획을 28일 일제히 발표했다. 이날 LG그룹은 ㈜LG,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

쿠팡, 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확대 나선다

쿠팡이 중증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을 확대한다.쿠팡은 한국장애인개발원,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과 중증장애인 e스포츠 직무모델 개발과 고용 활성

[ESG;스코어] 공공기관 온실가스 감축실적 1위는 'HUG'...꼴찌는 어디?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실적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감축률이 가장 높았고, 보령시시설관리공단·목포해양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IBS)

LG전자 신임 CEO에 류재철 사장...가전R&D서 잔뼈 굵은 경영자

LG전자 조주완 최고경영자(CEO)가 용퇴하고 신임 CEO에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이 선임됐다.LG전자는 2026년 임원인사에서 생활가전 글로벌 1위를 이끈

기후/환경

+

'CCU 메가프로젝트' 보령·포항만 예타 통과...5년간 3806억 투입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탄소포집·활용(CCU) 실증사업 부지 5곳 가운데 2곳만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쓰레기 시멘트' 논란 18년만에...정부, 시멘트 안전성 조사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폐기물이 활용됨에 따라, 정부가 소비자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시멘트 안전성 조사에 착수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환경단체,

해변 미세플라스틱 농도 태풍 후 40배 늘었다...원인은?

폭염이나 홍수같은 기후재난이 미세플라스틱을 더 퍼트리면서 오염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7일(현지시간) 프랭크 켈리 영국 임페리얼 칼리

잠기고 무너지고...인니 수마트라 홍수와 산사태로 '아비규환'

몬순에 접어든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들이 홍수와 산사태로 역대급 피해가 발생했다.28일(현지시간) 가디언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수마트라섬에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주말날씨] 11월 마지막날 '온화'...12월 되면 '기온 뚝'

11월의 마지막 주말 날씨는 비교적 온화하겠다. 일부 지역에는 비나 서리가 내려 새벽 빙판이나 살얼음을 조심해야겠다.오는 29∼30일에는 우리나라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