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14만원 '라코스테 셔츠'...직구하면 2만5000원 싸다

이도열 기자 / 기사승인 : 2021-12-03 14:29:40
  • -
  • +
  • 인쇄
소비자원, 브랜드의류 국내·해외 가격비교 조사
해외브랜드 라코스테, 폴로셔츠 최대 18% 저렴
▲라코스테 폴로셔츠


라코스테 등 해외 브랜드 의류의 직구 가격이 국내 가격보다 최대 18% 이상 싼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해외직구로 많이 구매하는 의류 중 4개 브랜드의 8개 제품의 가격을 비교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 모두 직구 가격이 저렴했다고 3일 밝혔다. 조사 대상 브랜드는 라코스테, 메종키츠네, 아미, 스톤아일랜드다.

조사대상 중 가격차 비율이 가장 큰 제품은 라코스테 '베이직 폴로'로 국내 구매가는 13만9000원인데 직구 가격은 11만3625원으로 2만5000원 이상(18.3%) 쌌다. 같은 브랜드의 '2버튼 레귤러핏 폴로셔츠'도 직구가 2만2000원(15.9%) 저렴했다.

스톤아일랜드, 아미, 메종키츠네 등 다른 브랜드도 직구가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52만원 수준인 스톤아일랜드 '울 니트'와 47만원이 넘는 아미 '크루넥 스웨터'는 직구 가격이 각각 4만원, 5만5000원 정도 낮았다. 국내에서 26만원 이상인 메종키츠네 '스웻셔츠'도 직구로 사면 3만5000원 이상 싸게 살 수 있다.

해당 직구가격은 현지배송료, 현지세금, 국제배송료, 관·부가세, 대행수수료 등을 포함한 가격이다. 환율은 조사기간 관세청 평균 고시환율(수입)인 1174.27원/달러, 1388.88원/유로를 적용했다.

다만 소비자원은 할인기간이나 배송방법, 면세한도 등을 고려하면 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소비자원측은 "직구할 때 관·부가세 등이 적용되면 오히려 가격이 비싸질 수도 있기 때문에 자세히 알아봐야 한다"며 "또 가격이 터무니없이 낮을 경우 제품의 하자나 가품일 가능성도 많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류의 경우 기본 관세율 13%와 부가세 10%가 적용된다. EU국가는 자유무역협정(FTA) 적용으로 부가세만 적용되며, 의류 기준 미국 200달러, 유럽은 150달러까지만 면세된다. 만약 배송 대행을 할 경우 일반적으로 1만5000원에서 2만원 정도 추가 부담이 발생한다.

▲ 단위: 원 (한국소비자원 제공)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