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도 1.5℃ 남았는데…화석연료 더 캐겠다는 주요 생산국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10-21 11:31:48
  • -
  • +
  • 인쇄
UNEP '2021년 생산격차 보고서' 발간
파리기후변화협정 '1.5°C 목표' 110% 초과
2030년 전세계 화석연료 예상 생산량이 기온상승을 1.5°C로 제한하기 위한 목표치의 2배인 것으로 드러나 각국 정·재계가 입을 모아 주장했던 '에너지 전환'이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20일(현지시간) '2021년 생산격차 보고서'를 발간해 화석연료 주요 생산국 상당수가 생산을 오히려 늘릴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20년간 화석연료 생산량은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스톡홀름 환경 연구소(SEI) 등이 주도해 진행된 이번 조사 결과 15대 화석연료 생산국 가운데 2030년 생산량을 2019년 대비 감축할 계획인 국가는 중국, 독일, 인도네시아, 노르웨이, 영국 등 5개국에 불과했다. 15대 화석연료 생산국은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캐나다, 중국, 독일, 인도, 인도네시아, 멕시코, 노르웨이,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UAE, 미국, 영국 등이다.

UNEP는 2030년에 이르면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합의된 '1.5°C 목표'에 부합하는 수치보다 석탄 생산량은 240%, 석유는 57%, 천연가스는 71% 초과 생산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제 화석연료 생산량 추이. 붉은 선은 현행 화석연료 생산 계획, 보라색 선은 '1.5°C 목표'에 부합하는 화석연료 생산량을 나타낸다. 두 선 사이의 공백이 '생산격차'를 가늠케 한다. (자료=UNEP)


보고서는 "주요 생산국들이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이 1.5°C를 넘지 않도록 하자는 파리기후변화협정을 지키려면 넘어선 안 될 선보다 110%나 많은 양의 화석연료를 생산하려 한다. 제한선을 2도 상승으로 잡아도 45%나 많은 양"이라고 지적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주요 20개국(G20)이 경기 회복 등을 위해 화석연료 산업에 투입한 신규 자금은 2970억 달러(약 348조원)로 집계됐다. 이는 G20가 재생 에너지에 투자한 금액을 상회한다.

앵거 인더슨 UNEP 사무총장은 "모두가 기후변화에 따른 파괴적 충격을 눈앞에 두고 있다. 아직은 장기적 기온 상승을 1.5°C로 억제할 시간이 있지만, 기회의 창이 빠르게 닫히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이번 세기 안에 지구 온도가 1.5°C 넘게 상승할 경우 인류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10년 대비 45% 삭감해야 한다고 조언한 바 있다.

한편 세계 200여 개국 정상은 이달 31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 참석해 기후변화 대응을 논의한다. 이번 회의는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 이후 가장 큰 기후변화 회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최남수의 ESG풍향계] '아리셀' 판결이 던진 과제

지난해 6월에 발생한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에 대한 1심 재판 결과가 지난 9월 23일에 나왔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위반한 이 회사

'종이제안서' 없앤다...서울시, 지자체 최초 '온라인 평가' 도입

서울시가 제안서 평가를 통해 계약상대자를 결정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에서 '제안서 온라인 평가제도'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제도는 전국 지

경기지역 수출 중소기업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어려워"

여전히 많은 수출기업이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절차 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회적 가치 1015억 창출

경기도가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이 지난해 총 1015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10일 밝혔다. 국내 지방정부가 특정 정책사업의 환경적·경

브라질, COP30 앞두고 '열대우림 보전기금' 출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 의장국인 브라질이 열대우림 보전 주도에 나선다.6일(현지시간) COP30 홈페이지에 따르면 '세계 지도자 기후

"자연자본 공시...기후대응 위한 기업·정부 공동의 과제"

6일 서울 삼성동 웨스틴서울 파르나스에서 '녹색금융 시장의 확대와 다변화'를 주제로 열린 '2025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 세션3에서는 자연기반 금

기후/환경

+

'2035 NDC' 53~61% 감축안 탄녹위 통과...국무회의 의결만 남았다

2035년까지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2035 NDC)이 2018년 대비 53~61% 감축하는 안으로 굳어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10일 오후 3시 전

[COP30] 개방형 '배출권거래제' 논의...브라질-EU-中 등 연합체 결성

탄소배출권을 사고파는 탄소배출권 거래제 기준이 전세계적으로 통일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앞서 브

10년간 기후난민 2.5억명...절반이 올해 기후재난으로 발생

올해 전세계적으로 1억1700만명의 기후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지난 10년간 발생한 전세계 기후난민 2억5000만명의 절반에 달한다.기후난민

ICJ “기후방치는 인권침해”… COP30 협상 지형 흔든 판결

국제사법재판소(ICJ)가 국가의 기후변화 방치를 인권침해로 볼 수 있다는 자문 의견을 내놓으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협상에 새

'종이제안서' 없앤다...서울시, 지자체 최초 '온라인 평가' 도입

서울시가 제안서 평가를 통해 계약상대자를 결정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에서 '제안서 온라인 평가제도'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제도는 전국 지

나흘만에 또 '괴물 태풍'...필리핀 230㎞ 슈퍼태풍에 '초토화'

태풍 '갈매기'에 이어 최대 풍속 230㎞/h에 달하는 슈퍼 태풍 '풍웡'이 필리핀을 또 강타했다. 풍웡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봉황(鳳凰)을 뜻하는 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