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 걷기만해도 전구에 불이…전기 만드는 나무바닥재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09-02 16:54:52
  • -
  • +
  • 인쇄
스위스 연구진, 나노발전 바닥재로 전구 불켜기 성공
▲나노발전기 바닥재 구상도(사진=Matter)

밟으면 전력이 생산되는 '나노발전기' 나무 바닥재가 전구의 전원을 켜는 단계까지 성공했다. 성인 한 사람이 바닥을 밟기만 하면 전구가 켜지는 것이다.

스위스 연구진은 나무 바닥재로 만들어진 나노발전기 'FW-TENG'의 시제품으로 소형 전자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에너지를 생산했다고 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매터(Matter) 저널'에 발표했다.

표면적이 A4 용지보다 약간 작은 이 나노발전기는 나무 바닥재에 실리콘과 나노 결정체를 결합한 에너지 하베스팅(energy-harvesting) 장치다. 에너지 하베스팅은 주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사용가능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 발전기는 정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마찰전기 기술을 이용한다. 마찰전기는 물체끼리 마찰할 때, 즉 전자가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이동할 수 있을 때 발생하는 효과다. 이때 물체가 양극을 띠면 전자를 잃고, 반대로 음극을 띠면 전자를 끌어당긴다. 바닥재를 밟을 때 이러한 효과로 인해 전하를 띠게 되는 것이다.

▲ FW-TENG의 제조 및 작동 메커니즘 회로도(사진=Matter)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ETH)과 스위스 연방 재료과학 및 기술 연구소 뒤벤도르프 소속 목재 재료 과학 분야의 그룹 리더이자, 수석 연구 저자 귀도 판자라사 박사는 "목재는 전자를 잃거나 끌어당기는 경향이 강하지 않아 마찰전기 소재로는 좋지 않지만 건축 자재로는 훌륭하다"고 설명했다. 목재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천연 재생 자원이라는 점에서 유용하다고도 언급했다.

연구진은 나무의 마찰전기 특성을 높이기 위해 접촉 시 전자를 얻는 특성을 지닌 일반 실리콘으로 목자재의 한 면을 코팅하고, 다른 한 면은 전자를 잃는 특성의 나노결정으로 코팅했다. 다양한 종류의 목재를 시험한 결과, 연구진은 유럽에서 흔히 사용되는 건축용 목재인 가문비나무가 천연 목재보다 80배 더 많은 전기를 생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판자라사 박사는 "환경 친화적 절차로 나무를 개조해 마찰전기를 생산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며 "가문비나무는 저렴하고 유용하며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고 덧붙였다.

마찰전기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발전 소자로 연구돼 왔다. 현재 나노기술의 발전으로 미세한 에너지까지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전력수요를 감소시켜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FW-TENG는 다양하게 상용화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산업적 가치가 있다. 나노발전기는 LED 전구나 계산기 등 소형 전자제품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마룻바닥이나 생체센서 등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카디프 대학의 통합 재생 에너지 발전 및 공급 연구 그룹의 리더 닉 젠킨스 교수는 "이러한 장치가 사물 인터넷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며 ""물론 조명처럼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이 필요한 경우 그만큼 지속적인 운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판자라사 박사는 기술이 상용화되려면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단일 장치의 출력은 발표한 수준만큼 높지 않더라도, 장치들을 다수 결합해 확장하면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