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생분해성·바이오매스·생분해성...진짜 친환경 플라스틱은?

박유민 기자 / 기사승인 : 2021-06-20 07:00:06
  • -
  • +
  • 인쇄
생분해성 플라스틱만 '진짜 친환경'
인증 및 처리·재활용 제도 정비해야
▲  '친환경'을 달고 나온 플라스틱 제품들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지갑을 열게 만드는 '친환경' 플라스틱이 사실은 '진짜 친환경'이 아닌 경우가 허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친환경'을 달고 나오는 플라스틱 종류는 '산화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매스 합성수지'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크게 3가지가 있다. 명칭만으로는 다른 점이 무엇인지 알기가 힘들다. '바이오' '분해' 등의 단어로 인해 모두 '친환경'인 것처럼 들린다.

하지만 여기서 썩지 않는 석유계 플라스틱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은 한 가지 종류에 불과하다. 과연 어느 것일까.

19일 환경부와 전문가 등에 따르면 우선 산화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친환경 플라스틱에서 탈락이다. 썩는 플라스틱을 연구해온 황성연 바이오화학연구센터장은 "산화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친환경 제품이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산화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PP) 같은 석유계 플라스틱에 산화 생분해 촉진제를 섞어 플라스틱을 빛이나 열로 5년 안에 쪼개지는 제품이다. 문제는 진짜 사라지는 게 아니라 잘게 쪼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남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환경부도 산화생분해성 제품에는 환경 표지인증을 주지 않고 있다. 

하지만 산화생분해성을 판매하는 기업 중 일부는 해외 친환경 인증을 받았다며 홍보하는 곳도 있었다. 하지만 산화생분해 플라스틱이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이는 아랍에미리트(UAE)가 관련 기준을 마련하면서부터다. 사막기후 특성상 자연조건으로 생분해가 어려워 빛이나 열로 쪼개지는 산화생분해를 기본으로 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바이오매스 합성수지는 어떨까. 이에 대해 황 센터장은 "규정상 친환경적인 제품"이라고 답했다. 바이오매스 합성수지는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에 생분해 원료인 바이오매스 함량이 20% 이상이상 섞이기만 하면 정부의 환경표지 인증(EL727)을 받는다. 하지만 이마저도 결국 플라스틱을 적게 썼을 뿐이다. 남은 플라스틱은 결국 썩지 않고 남는다.

황 센터장은 "게다가 소재가 두 개이상 섞여 결국 재활용이 안된다"며 "바이오매스 함량도 각기 달라 차라리 페트(PET) 100%인 것이 재활용하기가 더 쉽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친환경 인증 제품의 타이틀을 받으면 더 많이 팔리는 경우를 볼 수 있다"며 "진짜 친환경 제품을 만들 수 있기 위해서 바이오매스 함량을 100%로 올리는 등 환경 인증 기준 조건을 더욱더 까다롭게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실제 환경부 조사 결과, 지난 2019년 환경표지 인증을 받은 956개 기업 가운데 전체의 89.1%에 해당하는 852개 기업 매출이 평균적으로 2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짜 친환경인지는 확인하기 어려움에도 '환경표지 인증'을 받으면 회사의 영업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남는다. 황 센터장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현재까지 진짜 친환경 제품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58℃에서 6개월 안에 90% 이상 생분해되는 제품으로 환경표지 인증(EL724)을 받는다. 인증마크는 똑같기 때문에 바이오매스 합성수지(EL727)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생분해 플라스틱도 '친환경'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고 매립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환경부는 생분해 플라스틱을 종량제 봉투에 버리도록 하고 있다. 재활용과 매립이 핵심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대부분 소각되는 것이다. 물론 소각 시에도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와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유해물질이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땅에 매립됐을 때 퇴비로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소각보다는 매립이 더 친환경적인 것이다.

황 센터장은 "친환경 인증이나 친환경 소재에 대한 제대로 된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