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벚꽃 만발' 여의도…31일부터 인근 교통통제

김연수 기자 / 기사승인 : 2021-04-01 09:56:04
  • -
  • +
  • 인쇄


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일조 시간이 평년보다 길어지면서 서울의 벚꽃도 1922년 관측 이래 가장 일찍 피었다. 서울 영등포구는 벚꽃 구경 인파가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 국회 인근 벚꽃길 통제를 앞당겼다.

29일 황사경보가 발령됐지만 여의도 윤중로에는 만개한 벚꽃을 보기 위해 몰려든 상춘객들로 북적거렸다. 윤중로 곳곳에는 온라인 비대면 봄꽃축제를 알리는 현수막이 설치돼 있었다.

영등포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여의도 봄꽃축제를 취소했다.

 ▲여의도 국회의사당 뒷편 윤중로에 벚꽃이 활짝 폈다

▲윤중로 곳곳에 설치돼 있는 교통통제 안내 현수막


당초 4월 1일로 예정돼 있던 여의도 국회 인근 교통통제 일정은 벚꽃이 예상보다 빨리 피면서 31일 오전 9시로 하루 앞당겨졌다. 교통통제는 오는 4월 12일까지 계속된다.

통제구간은 △국회뒤편 여의서로 일대 1.7㎞ 구간 전면 통제 △국회 의원회관으로 올라오는 연결로 시점과 여의2교 북단 사이 340m 구간 평일 오전 6시부터 정오까지 △여의2교와 국회3문 사이 280m 구간 평일 오전 6시부터 9시30분까지만 차량 운행이 허용된다.

국회5문과 둔치주차장 사이 80m 구간은 별도 확인절차를 거친 후 출입이 가능하다.

                    ▲주말 교통통제에 따른 여의도 버스 미운행 구간 (사진=서울시)


기상청은 올해 벚꽃이 평년보다 빨리 개화한 이유에 대해 2∼3월의 평균기온이 예년보다 높고 일조시간도 예년보다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월 평균기온은 2.7도로 예년보다 2.3도 높고, 일조시간은 181시간으로 예년보다 17.7시간 많았다. 3월 평균기온은 예년보다 5.1도 높은 8.3도, 일조시간은 20.2시간 많은 158.5시간으로 집계됐다.

서울시도 개최 예정이었던 서울대공원 벚꽃·장미원 축제 등 17개 행사를 모두 취소했다. 중랑구 서울 장미축제, 여의도 봄꽃 축제, 양재천 벚꽃 축제, 석촌호수 벚꽃 축제 등은 인원수를 최소화하거나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여의도 국회의사당 뒷편 만발한 벚꽃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