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미에서 수돗물에 '불소'를 첨가하는 것을 놓고 사회적 갈등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한 연구에서 불소화 수돗물이 충치를 줄이는 효과가 0~4%에 불과하다는 결과를 발표하면서 불소 논란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우리나라 수돗물의 불소 농도도 0.8mg/L 수준으로, 미국과 비슷해 정책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캐나다 연구진은 4일(현지시간) "불소화 수돗물이 충치를 줄이는 효과는 0~4%에 불과해 이는 평생 1개의 충치를 예방하는 수준"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전에도 불소가 충치예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다수 발표된 바 있다.
수돗물 불소화(CWF)는 20세기 중반 미국에서 시작돼 현재 미국 인구의 약 73%가 불소화 수돗물을 마시고 있고, 캐나다 역시 전국적 수돗물 불소화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 불소화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충치 예방 효과와 안전성을 둘러싸고 과학계와 시민사회, 정책당국간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불소에 오래 노출되면 아동 인지발달이 저하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미국 국가독성프로그램(NTP)은 다수 연구를 검토한 결과, "불소 노출이 어린이 IQ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평균적으로 IQ가 3점가량 낮아진다는 분석도 있다.
이에 미국 유타주와 플로리다주는 지난 3월과 5월 수돗물 불소화를 전면 금지했다. 캘리포니아 연방법원도 지난해 9월, 0.7mg/L 수준의 불소 수돗물이 "건강 또는 환경에 부당한 위해를 끼칠 수 있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 이후 연방정부에도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한국식품안전연구원에 따르면 불소는 "적정량 섭취시 치아가 강화되지만 과잉 섭취하면 면역체계 손상, 관절염, 골다공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독성 물질"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불소 농도 기준과 지역별 시행 실태를 포함한 정책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논문 제1저자인 캐나다 요크대학교 크리스틴 틸 교수는 "불소화 정책은 감수성이 높은 계층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며 "영유아, 임산부, 저체중 신생아에 대한 노출 총량을 따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Current Problems in Pediatric and Adolescent Health Care'에 7월 4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