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심(USIM)을 교체한 SK텔레콤 가입자 가운데 교통카드 잔액이 0원으로 나오거나 연락처가 사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사례가 적지않게 나오고 있어, 유심 교체에 앞서 주의점을 정리해봤다.
현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가장 화제가 되고 있는 것은 유심 교체 후 티머니 등 선불형 교통카드 잔액이 0원으로 나오는 것이다. 이는 유심 특성에 의한 결과로 오류가 아니다. 선불형 교통카드는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활용해 유심에 정보를 저장하고 결제를 진행하기 때문에 유심을 교체하면 해당 정보가 사라진다.
이같은 상황을 피하려면 유심을 교체하기 전에 교통카드 앱에서 잔액 환불을 신청하고 교체한 뒤 다시 충전하면 된다. 티머니의 경우 모바일앱에서 환불을 진행하거나 일부 편의점과 고객센터 등에서 잔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 후불형 교통카등의 경우 정보가 교체전 유심에 남기 때문에 미리 삭제한 다음 유심 교체 후 재발급받으면 된다.
연락처의 경우 단말기 종류에 따라 기기 자체가 아닌 유심에 저장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단말기에 연락처 복사를 완료한 후 유심을 교체하는 게 안전하다. 갤럭시 시리즈 등 삼성전자 단말기 이용자는 '연락처' 앱에 들어가 메뉴의 연락처 관리에서 '연락처 내보내기' 기능을 활용해 내장 공간에 저장하면 된다. 유심 교체 후에는 '연락처 가져오기' 기능을 실행하면 저장했던 연락처를 다시 유심에 내려받을 수 있다.
아이폰 이용자는 '설정'에 들어가 앱-연락처-SIM 연락처 가져오기를 누르고 연락처를 받을 위치를 선택하면 된다. 해당 경로로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 해당 스마트폰 제조사에 문의해야 한다.
카카오톡 대화 데이터는 유심이 아닌 기기에 설치된 카카오톡 앱에 남기 때문에 유심을 교체했다고 사라지진 않는다. 다만 오류가 우려되거나 중요한 파일이 있다면 카카오톡 백업 기능을 활용해 백업을 진행해두면 안심이다.
카카오톡 앱 홈 화면에서 전체 설정으로 이동한 뒤 채팅 탭을 누르면 '대화/미디어 자동 백업'이나 '대화 임시 백업'을 선택할 수 있다. 대화 임시 백업의 경우 기기의 글 형태 대화를 직접 백업하고 14일 이내 앱을 다시 설치하면 대화 내용이 복원되는 기능이다. 텍스트 외 사진이나 영상 데이터까지 백업하려면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인 '톡서랍 플러스'를 구독해야 한다.
한편 SK텔레콤은 29일 유심(USIM)을 교체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유심 교체효과를 낼 수 있는 '유심 포맷' 방식을 5월중순부터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