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즘 극복할 기술경쟁 '후끈'...'인터배터리 2025' 역대 최대규모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6 16:47:08
  • -
  • +
  • 인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를 찾은 관람객들(사진=연합뉴스)

자동차·배터리 시장이 '캐즘'(시장침체)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 열기는 어느 때보다 후끈 달아오른 모습이다. 참가기업들 대부분은 캐즘을 기회로 삼아 투자를 더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배터리협회 주최로 지난 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한 '인터배터리 2025'는 전세계 688개 업체들이 참가해 2330개 부스를 구성하고 저마다의 기술과 제품들을 전시했다. 관람객들의 발길도 이어졌다. 개막 첫날 2만명 넘게 방문한데 이어, 둘째날인 6일 방문객은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흥행은 올해 행사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중국 BYD, EVE 등 전세계 주요 배터리 업체가 대거 참여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가 된 점과 오랜기간 이어져온 전기차·배터리 캐즘 극복을 위해 각 기업들이 선보일 최신제품이 선보일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참가 기업들은 주로 전기차 화재나 배터리 안정성 등 캐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안정성 대책과 함께 에너지 효율과 배터리 수명 향상을 위한 신소재 개발, 배터리 가격 경쟁력 등을 캐즘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참가업체 가운데 가장 큰 540평방미터(㎡) 규모의 부스를 차리고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와 CAS 설루션을 소개했다. 46시리즈 배터리는 기존 2170 배터리보다 최소 5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고,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효율성을 대폭 개선한 제품이다. 함께 선보인 CAS 기술은 46시리즈 배터리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안전성을 강화하는 배터리 팩 설루션으로, 고도화된 냉각 효율과 열 폭주 방지 기능을 갖췄다.

또 리튬인산철(LFP) 경제성과 셀투팩(CTP)의 효율성을 결합한 LFP 파우치 CTP와 고성능에 가격 경쟁력을 갖춘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도 소개했다.

올해 인터배터리 첫 참가인 LG화학은 주력 제품인 하이니켈과 함께 보급형 전기차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제품군과 설루션을 소개했고, 국내 최초로 전구체 프리 양극재(LPF)를 선제적으로 양산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삼성SDI는 열전파 차단 기술, 전고체 배터리 개발 등 주력 제품인 각형 배터리의 안전성에 초점을 맞췄다. 열전파 차단 기술은 배터리 제품의 특정 셀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른 셀로 열이 전파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해 화재 발생 및 손상을 막아주는 기술로 최근 상품화 적용 검토가 완료됐다. 전고체 배터리는 화재 위험성도 낮고 주행 거리고 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데, 삼성 SDI는 이를 2027년 상용화 목표로 고객사에 샘플을 공급하고 있다.

SK온은 SK엔무브와 협력해 개발 중인 액침냉각 기술을 선보였다. 액침냉각 기술은 배터리 셀을 특수 냉각액에 담가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기술로, 열폭주를 미연에 방지해 화재 발생률을 줄이는 기술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양·음극재, 리튬, 니켈 등 소재 샘플을 전시하고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한 울트라 하이니켈 단결정 양극재와 충전 속도를 높인 저팽창 천연흑연 음극재, 가격 경쟁력을 갖춘 리튬망간리치(LMF) 등 양·음극재 기술 로드맵을 소개했다.

포스코그룹은 캐즘 시기를 오히려 경쟁력 제고의 기회로 삼고 우량 자원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공격적인 전략을 취하고 있다. 실제로 캐즘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와 호주 리튬광산, 인도네시아 니켈제련 사업, 아프리카 흑연 광산 등에 투자를 확대해 왔다.

에코프로는 중국 GEM과 합작해 양극재 소재인 니켈을 저렴한 가격으로 확보해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계획으로 2026년 말 시제품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전고체 시대를 대비해 고체 전해질 양산 계획도 함께 소개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KT, 20번째 ESG보고서 발간…"AICT 기반 ESG 전략 구체화"

KT가 인공지능(AI) 기반 ESG 실천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년 KT ESG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AICT(인공지능과 정보통신

우리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SBTi 인증 탄소감축 목표 달성 공시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협력사도 탄소관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기후/환경

+

열돔이 갇힌 유럽과 미국...40℃ 넘는 '극한폭염' 덮쳤다

올여름 북반구 대부분의 나라들이 기록적인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 유럽의 낮기온은 40℃까지 치솟고 있고, 미국은 열흘 넘게 '열돔'에 갇혀있다. 우리

기후변화영향평가 제도 시행 3년..."사각지대 개선해야"

'기후변화영향평가'가 시행 3년차에 접어들지만 평가범위가 제한적이고 권고수준에 머무르면서 실효성이 없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에펠탑이 20cm 휘어진다고?...철구조물은 폭염에 약해

폭염으로 프랑스 파리의 상징물인 에펠탑이 약 20㎝가량 휘어질 수 있다.30일(현지시간) 일간 르파리지앵에 따르면 에펠탑은 철골 구조물로, 철강은 열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이래 '최고치'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배경농도가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이 30일 발간한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강릉 가시연습지·경포호, 7월 '이달의 생태관광지' 선정

환경부가 7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강릉 가시연습지·경포호'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강릉 가시연습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