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계열사까지 수사?...그룹 전반 위기봉착
SM엔터테인먼트 인수과정에서 시세조종 의혹을 받고 있는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23일 검찰에 구속되면서 카카오는 오너 사법리스크에 휘말리게 됐다.
서울남부지법은 구속전 피의자신문(영장실질심사)에서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받는 김범수 위원장에 대해 "증거인멸과 도주의 염려가 있다"며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이에 따라 김범수 위원장은 구속기간동안 시세조정 여부 등을 집중조사받을 예정이다.
김범수 위원장의 사법리스크가 불거진 것은 지난해 SM엔터의 인수전을 치루면서부터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2월 SM엔터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경쟁사인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하기 위해 사모펀드 운용사인 원아시아파트너스와 약 2400억원을 동원해 총 553차례에 걸쳐 SM엔터 주가를 하이브의 공개매수가인 12만원보다 높게 매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김 위원장이 그룹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로서 시세조종 계획을 사전에 보고받고 승인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김 위원장측은 SM엔터 주식 장내 매수를 보고받고 승인했지만 구체적인 매수 방식·과정에는 관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18일 카카오 임시 그룹협의회에서 "진행중인 사안이라 상세히 설명할 수 없지만 현재 받는 혐의는 사실이 아니다"면서 "어떤 불법 행위도 지시하거나 용인한 적 없는 만큼 결국 사실이 밝혀지리라 믿는다"고 말했지만 결국 구속은 피하지 못했다. 김범수 위원장은 지난 2022년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가, 사건이 불거진 이후인 지난해 11월 경영쇄신위원회를 출범시키며 경영에 복귀했다.
법원이 이례적으로 오너인 김범수 위원장을 구속시킴에 따라, 그동안 경영쇄신을 진두지휘해왔던 카카오의 경영재편에도 먹구름이 끼게 됐다. 게다가 이번 사건뿐만 아니라 카카오의 다른 계열사까지 수사 선상에 오르면서 그룹 전반이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남부지검은 시세조종 의혹 외에도 카카오엔터가 지난 2020년 드라마제작사 바람픽쳐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김성수 당시 카카오엔터 대표와 이준호 당시 투자전략부문장이 바람픽쳐스에 시세차익을 몰아줄 목적으로 비싸게 매입·증자했다는 의혹도 수사하고 있다.
아울러 카카오모빌리티가 알고리즘을 조작해 자사 가맹 택시인 '카카오T 블루'에 승객 호출을 선점할 수 있도록 했다는 이른바 '콜 몰아주기' 사건과 김 위원장과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관계사 임원들이 횡령·배임 등 혐의로 고발된 사건도 살피고 있다.
게다가 현행 인터넷전문은행법에 인터넷은행 대주주가 최근 5년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으로 벌금형 이상 처벌을 받으면 보유한 은행주식을 처분해야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카카오는 카카오뱅크 보유지분 가운데 10%를 제외한 나머지 17.17%를 매각해야 할 수도 있다.
SM엔터 인수발로 불거진 카카오의 사법리스크는 김범수 위원장 개인을 넘어선 회사 리스크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카카오뿐만 아니라 카카오뱅크, 카카오게임즈 등 전 계열사의 주가가 23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벤처 1세대로 불리는 김범수 위원장은 1998년 한게임을 창업한 다음, 2000년 네이버와 인수합병한 뒤 NHN 공동대표를 맡아왔다. 이후 2007년 NHN을 퇴사한 뒤 벤처투자에 전념하다가, 2010년 모바일메신저 카카오톡을 출시하면서 지금의 카카오그룹로 성장시킨 주역이다.
한편 카카오는 이날 "현재 상황이 안타까우나, 정신아 CA협의체 공동의장을 중심으로 경영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