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감시 통제 위해 '블랙리스트' 관리
용산 반환기지가 용산어린이정원으로 개방된지 1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토양내 납, 비소, 수은 등 오염물질이 정화되지 않고 있어 개방을 중단하고 오염물질부터 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일 서울 용산어린이정원 정문 앞에서 녹색연합과 온전한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용산시민회의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임성희 녹색연합 팀장은 "당초 정부계획에 따르면 2022년 용산기지가 반환된 이후 7년간 어떤 공법으로 정화를 할 건지, 그리고 정화가 됐는지 검증하고, 그 계획에 따라 공원을 만드는 것이었지만, 이런 일정을 일방적으로 무시한 채 정화없이 시민들에게 개방했다"고 규탄했다.
앞서 지난 2021년 환경부와 미군이 합동으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용산 정원 반환부지 인근에서는 기준치의 36배가 넘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발견됐다. TPH에는 벤젠과 같은 발암물질이 다수 포함돼 있다. 이밖에도 중금속인 납, 비소는 각각 5배, 3배 초과한 수치가 검출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는 해당 부지를 15cm 두께의 흙으로 덮고 꽃과 잔디를 식재해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용산어린이정원 조성에 303억원의 예산이 투입됐고, 2024년에는 132억원을 증액한 435억원이 책정됐지만, 분수와 조형물을 비롯한 시설물에 배정된 금액일 뿐 별다른 오염물질 정화 조처는 없는 상황이다.
이에 용산 금양초등학교 학부모 용은중 씨는 "지가가 높은 지역 특성상 공공놀이터를 만들기 어려워 날마다 많은 아이들이 용산어린이정원에서 뛰놀고 있는데, 시커멓게 오염된 땅 위에 어린이라는 이름을 붙여서 오게 한다는 건 국민을 우롱하는 일"이라며 "공원 자체도 거대한 토끼 조형물과 대통령 내외 사진전 정도가 전부로 애초부터 어린이에 대한 배려는 없는 이곳은 용산대통령정원으로 불러야 마땅하다"고 밝혔다.
오염을 통제하기는커녕 시민들의 감시를 통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2023년 7월 용산시민회의 김은희 대표는 개인 소셜서비스(SNS)에 용산어린이정원에 설치된 윤석열 대통령 부부 색칠놀이 프로그램 비판글을 올렸는데, 함께 출입했던 용산시민 5인과 함께 용산어린이정원 출입금지 처분을 받았다. 비슷한 시기 대학생진보연합 소속 대학생 20여명 역시 사전예약 신청을 했다가 입장 불가 통보를 받았다. 시민들의 감시를 통제하기 위해 30여명의 '블랙리스트'를 지정했다는 것이다.
김은희 대표는 "국민들 가운데 공원에 들어가지 못하는 국민이 있을 수는 없다"며 "국민의 자격을 벗어난 사람으로 취급당하고 있다"고 심정을 토로했다.
이날 녹색연합과 온전한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용산시민회의는 △오염부지 정원개방을 즉각 중단하고 오염물질의 정화를 우선할 것 △시민 감시를 통제하는 블랙리스트 조처를 정부가 사과할 것 △오염자부담 원칙에 따라 미군에 정화 책임을 요구할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