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성 제고하고 국제협력 확대해야
지난해 9490억달러(약 1260조원) 규모로 성장한 글로벌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은 온실가스를 억제하는 핵심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은 지난 2023년 국제 탄소시장의 거래량은 12억5000만톤으로 전년에 비해 2%가량 줄었지만 탄소가격이 2% 늘어나면서 전반적으로 시장규모는 2%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에 국제통화기금(IMF)은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기후위기 대응과 경제발전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배출하는 탄소량에 가격을 매겨 배출 주체에겐 불이익을 주고, 감축 주체에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로, 탄소저감 기술개발을 촉진시켜 신시장을 개척하는 한편 배출량을 줄이도록 하는 유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탄소배출권 거래규모가 가장 큰 시장은 유럽연합(EU)이다. EU의 배출권거래(ETS) 규모는 지난해 전세계 탄소시장의 87%를 차지했다. 지난해 2월 ETS 배출권 거래가격이 1톤당 100유로(약 14만3000원)를 돌파한 이후 3분기까지 상승흐름이 이어졌다. 하지만 겨울에 접어들면서 난방대란과 성장둔화로 배출권 수요가 감소하면서 지난해말 ETS 가격은 1톤당 69.22유로(약 9만9120원)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4분기 하락했던 유럽시장과 달리, 북미와 중국은 지난해 4분기 탄소배출권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국제 탄소시장 성장을 견인했다. 이 시기에 북미지역 서부기후이니셔티브(WCI) 탄소배출권 가격은 1톤당 39달러(약 5만1800원)에 거래됐고, 중국에서 탄소배출권 가격은 1톤당 80.51위안(약 1만4860원)으로 거래됐다. 다만 지난해 EU의 탄소시장은 7700억유로(약 1102조원)인데 비해, 북미는 714억유로(약 102조원), 23억유로(약 3조3000억원)에 불과했다.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이 전반적으로 성장률 둔화와 탄소저감 실적에 대한 신뢰도 논란에도 불구하고 성장하는 이유는 EU, 미국, 중국 외에 한국, 일본, 스위스, 뉴질랜드 등 각국에서 국가제도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라고 LSEG는 분석했다. 아울러 탄소시장의 성장세는 국제사회가 저탄소 전환의 필요성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판단한데서 기인한다는 것이다.
LSEG는 "앞으로 탄소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키려면 측정 기준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권역별로 한정된 거래를 넘어설 수 있도록 국제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