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불안'이 실제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지난 5년간 구글에서 기후불안에 대한 검색건수가 45배 증가하는 등 이상기후로 인한 불안감이 실제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구글 데이터에 따르면 '기후불안' 또는 '환경불안' 관련된 검색 건수는 2018년~2023년까지 45배가량 늘었다. 구체적으로 "환경 불안이란 무엇인가요?"와 "기후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 등의 질문이 가장 많이 검색됐다. 기후·환경 불안이란 이상기후 등 기후위기와 관련된 두려움, 정신적 고통 및 부정적인 감정을 통칭하는 신조어다.
또한 구글은 "2023년 1월~10월까지 기후불안에 대한 영어 검색은 2017년 같은 기간에 비해 27배 상승했으며, 포르투갈어 검색은 73배나 급증했다"고 밝혔다. 또한 기후불안을 가장 많이 검색한 국가는 핀란드, 스웨덴 등의 북유럽 국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데이터에 따르면 이들 국가가 전체 검색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임페리얼 칼리지런던(Imperial College London) 기후돌봄센터의 정신건강책임자 엠마 로런스(Emma Lawrance) 박사는 "기후불안은 분노, 죄책감, 슬픔, 두려움, 절망감 등 다양한 감정과 불면증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폭염이 미국, 유럽 등 각국을 휩쓸고 거대 산불이 뉴욕 하늘의 색을 바꾸는 등 기후재난이 빈번해지면서 기후불안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기후불안이 실제로 정신건강을 악화시킨다는 점이다. 미국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가 최근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약 7%가 기후변화와 관련된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3%는 심각한 불안증세와 우울증을 보이기도 했다. 연구를 주도한 앤서니 라이저로위츠(Anthony Leiserowitz) 교수는 "이러한 수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설문 참여자의 약 3분의 2가 지구온난화에 대해 적어도 "어느 정도 걱정된다"고 답했고 13%는 "지구온난화에 대해 무언가를 하기에는 이미 너무 늦었다"고 말해 기후비관론도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학자들은 "이같은 불안이 실제 행동양식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로런스 박사는 "극한기후나 재난을 경험한 미국 젊은이 중 3분의 1은 기후위기로 인해 아이를 갖는 것을 두려워하는 반면 비슷한 사건을 경험하지 않은 젊은이 중 5분의 1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기후불안이 심한 사람들은 저축, 직업, 정치, 인간관계 등을 기후변화에 맞춰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심리학자들은 "기후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잔 클레이튼(Susan Clayton) 우스터대학교(College of Wooster) 심리학과 교수는 "부정적 감정을 인정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나누면서 부정적 감정과 긍정적 감정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며 "가능하면 뉴스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그런데 기후불안이 가지는 긍정적인 영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들이 기후행동에 나서고 정부와 기업에 변화를 요구히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실제 저스트 스톱 오일(Just Stop Oil)과 같은 단체들은 "기후변화에 대해 긴급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인류문명을 파괴할 것이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라이저로위츠 교수는 "기후불안에 대한 가장 좋은 처방은 기후행동"이라며 "정책입안자들은 이러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런스 박사도 "많은 젊은이들이 불안해 하는 것은 기후위기 그 자체가 아니라 충분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며 "다만 이와 별개로 기후불안으로 인해 심각한 우울증이 있을 경우 필히 정신과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