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황제펭귄' 멸종 직면..."번식할 해빙 모두 녹아버렸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8-25 11:46:44
  • -
  • +
  • 인쇄



기후변화로 남극 해빙이 지난해 급격하게 녹으면서 황제펭귄이 번식할 수 있는 터전을 잃어 멸종위기에 처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남극연구소(BAS) 피터 프렛웰 박사연구팀은 남극 반도의 서쪽지역인 벨링하우젠해 중부와 동부에 있는 황제펭귄 서식지 5곳 중 4곳에서 해빙이 사라져 새끼 펭귄들이 살아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8년~2022년까지 벨링하우젠해에 있는 황제펭귄 서식지 5곳을 인공위성 사진을 통해 번식기동안 서식지의 펭귄을 관찰했다. 해당 지역에는 약 630쌍~3500쌍의 펭귄이 번식을 하며 서식했다. 그러나 2022년 관찰에서는 서식지 4곳에서 번식이 실패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는 새끼가 한 마디로 생존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통상 황제펭귄은 5~6월에 알을 낳는다. 알은 낳은지 65일 후 부화하지만, 새끼들은 여름인 12월~1월까지 깃털이 완전히 나지 않기 때문에 얼음이 필수적이다. 새끼는 태어난지 6개월 후인 12월에 부모로부터 독립하는데, 이 과정에서 육지와 연결된 해빙이 일종의 교두보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난해는 지구온난화로 해빙이 훨씬 일찍 녹으면서 11월에 해빙이 모두 사라졌다. 황제펭귄들이 알을 낳을 장소가 사라져 버린 것이다. 이 때문에 둥지를 틀고 알을 낳을 수 있는 해빙이 사라진 서식지 4곳에서 황제펭귄들이 번식에 실패한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연구진들은 "이같은 재앙적 번식 실패는 최초"라며 "지구온난화로 인해 황제펭귄 서식지의 90% 이상이 2100년까지 멸종될 것이라는 예측을 뒷받침한다"고 평가했다. 연구팀 중 1명은 "이 시기에는 얼음 위에 있는 황제펭귄을 보는 것이 익숙했는데 갑자기 얼음이 보이지 않았다"며 "순간 소름이 돋았다"고 말했다.

영국남극연구소에서 조류를 연구하는 노먼 랫클리프(Norman Ratcliffe) 박사는 "해빙이 일찍 깨지면 병아리들이 물에 빠져 익사할 수 있다"며 "해빙이 갑자기 조각나 어미와 새끼가 서로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발견이 멸종에 대한 조기경보"라며 "이전에도 해빙이 갈라지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는 남극 전체에서 극소수로 일어났던 일"이라고 했다.

문제는 앞으로 이런 일이 반복된다는 사실이다. 과학자들은 이미 수차례 해빙이 급격하게 감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올여름에도 남극에서 해빙은 전례없이 녹아버렸다. 게다가 해빙은 보통 여름에 녹고 겨울에 보충되는데 이번 겨울에 보충되는 해빙의 양은 턱없이 부족했다. 올 7월 남극 해빙은 1945년 관측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1981~2010년 평균보다 260만제곱킬로미터나 감소한 것이다. 

랫클리프 박사는 "해빙 감소는 황제펭귄에게 치명적"이라며 "펭귄이 갈 곳이 없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황제펭귄은 번식 실패에 적응하기 위해 인근의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번식 서식지 전체가 영향을 받는다면 이 방법도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황제펭귄 서식지 62곳 중 30%가 해빙 손실의 영향을 받았다. 콜로라도 볼더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에서 환경학을 연구하는 카산드라 브룩스(Cassandra Brooks)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황제펭귄이 생존 위험에 직면해 있다는 많은 증거를 제공한다"고 했다.

해빙 소멸은 비단 펭귄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바다표범과 크릴 등 많은 해양생물들이 해빙에 의존해 살아가기 때문이다. 화석연료 오염을 억제하지 못해 해빙 손실을 방치되면 남극 토착종의 65%가 멸종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또한 남극 해빙은 태양빛을 반사해 지구온난화를 늦추는 역할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랫클리프 박사는 "결론은 남극을 둘러싼 물리 해양학과 생물학 그리고 남극에 의존하는 생태계 모두에 상당히 우려스러운 일이라는 것이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25일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알림]'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워즈'...씨이텍 등 6개 기업 시상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워즈' 수상기업으로 선정된 6개사에 대한 시상식이 19

김종대 "기후대응 핵심은 스타트업...생물다양성·순환경제 아울러야"

"기후위기 대응은 스타트업들의 아이디어와 기술 혁신이 핵심이며, 향후 기후대응은 자원순환 및 생물다양성과 통합돼 산업구조를 고도화해야 한다."

AI로 동물대체시험법 활성화한다...심포지엄 개최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국가독성과학연구소와 19일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보타닉파크 호텔에서 동물대체시험법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공동

합쳐야 살아남는다?...대기업 녹색사업 '합종연횡' 봇물

탄소중립 압박과 기후위기 대응 그리고 막대한 투자비용 탓에 개별 기업에서 해결하는 것이 한계가 뚜렷해지자, 대기업들이 힘을 합치기 시작했다.19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기후/환경

+

[알림]'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워즈'...씨이텍 등 6개 기업 시상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워즈' 수상기업으로 선정된 6개사에 대한 시상식이 19

김종대 "기후대응 핵심은 스타트업...생물다양성·순환경제 아울러야"

"기후위기 대응은 스타트업들의 아이디어와 기술 혁신이 핵심이며, 향후 기후대응은 자원순환 및 생물다양성과 통합돼 산업구조를 고도화해야 한다."

[주말날씨] 전국 또 '비소식'…강릉 저수율 27.7%까지 회복

이번 주말 전국 날씨는 대체로 흐리고 비가 내리겠다. 특히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도 비가 내릴 예정이다.19일 오후부터 전국에 내리기 시작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