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화재양상 달라져"...자연재해 화재 63% '껑충'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8-23 16:45:53
  • -
  • +
  • 인쇄
소방청 올 상반기 화재발생 분석결과

올 상반기동안 국내에서 가뭄과 태풍 등 자연재해에 따른 화재가 63% 급증했다.

소방청이 23일 발표한 올 1~6월 화재발생 분석 결과에 따르면, 상반기 전국에서 발생한 화재 건수는 2만127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만2254건에 비해 4.4% 줄었다.

그러나 자연적 요인에 의한 화재 건수는 114건으로, 지난해 70건에 비해 무려 62.9% 급증했는데, 소방청은 이에 대해 기후변화로 인해 화재 발생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자연적 요인에 의한 화재는 지진·가뭄·태풍·낙뢰 등 자연재해가 1차적 원인이 되거나 햇빛으로 인한 자연 발화를 뜻한다. 지난 4월 강원도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도 소방당국은 자연적 요인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했다. 당시 화재로 1명이 숨지고 37명이 다치는 등 올 상반기 발생한 화재 가운데 가장 인명피해가 컸다.

국내뿐 아니라 최근 해외에서 발생한 산불도 대부분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지목되고 있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런던과 캐나다 정부기관이 공동 연구한 바에 따르면 기후위기로 캐나다 산불의 강도가 20% 높아졌고 산불의 빈도도 최소 2배 이상 많아졌다. 적설량은 감소하고 극한가뭄에 습도는 낮아 바싹 마른 숲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화마를 더 키웠다는 분석이다. 

통상적으로 기후변화 자체가 거대한 산불을 야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초목이 건조하면 불이 더 쉽게 붙을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임페리얼칼리지런던의 기후학자인 프리데리케 오토 박사는 "기온 상승으로 캐나다뿐만 아니라 전세계 숲에 부싯돌이 나뒹굴고 있다"며 "화석연료 연소를 중단하지 않는 한 산불 발생 건수는 계속 증가해 더 넓은 지역을 더 오랜시간 태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올 상반기 국내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 가운데 담배꽁초 등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1만1242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7% 줄었다. 이외 전기적 요인 4732건, 기계적 요인 1881건, 화학적 요인 376건 등 순이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기내식 용기 '식물성 소재'로 바꾼다

대한항공이 식물성 원료로 만든 기내식 용기를 도입한다.대한항공은 오는 12월부터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비목재 식물성 원료로 제작된 기내식 용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기후/환경

+

땅속에서도 죽지 않는다...북극 동토층 '좀비 산불'로 몸살

땅속으로 파고든 불씨가 죽지않고 타는 '좀비 산불'이 시베리아와 캐나다, 알래스카 등 북극의 새로운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좀비 산불'은 유기토양

기후취약국들 갈수록 '빚더미'..."기후재원 언제까지 대출받아 피해복구?"

기후재난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기후취약국들이 기후위기를 촉발시킨 선진국들의 책임있는 자세를 다시한번 촉구하고 나섰다.기후

1만2000년만에 분화한 화산...연기 14km까지 치솟아

에티오피아 북동부에 위치한 하일리 굽비 화산(Hayli Gubbi volcano)이 약 1만2000년 만에 처음으로 분화했다고 24일(현지시간) AFP, 가디언 등 외신들이 보도했

"초미세먼지 줄여라"…정부,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에 출력제한 조치

온화한 날씨로 인해 올겨울 초미세먼지(PM2.5)가 지난해보다 더 짙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 석탄발전소 최대 17기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대한상의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 모집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 재생에너지 활용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수는 오는 12월 10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