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상괭이·고래 검사했더니...소화기관에 미세플라스틱 '범벅'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2 11:37:16
  • -
  • +
  • 인쇄
얕은 해역에서 먹이활동할수록 다량 검출
검출된 재질은 PP가 44%, PET· PE도 많아
▲우리나라 해역에 서식하는 국제보호종 '상괭이' (사진=해양수산부)

우리나라 해역에 주로 서식하는 상괭이와 고래, 바다거북 등의 대형 해양생물 체내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12일 국제학술지 해양오염학회지 4월호에 실린 '한국에 좌초한 대형 해양생물 체내 미세플라스틱' 논문에 따르면 2019~2021년 한국 해변에서 발견된 대형해양동물 사체 12구를 분석한 결과, 체내에서 미세플라스틱 1902개가 발견됐다. 미세플라스틱은 길이 5㎜ 미만의 플라스틱 조각으로 체내 흡입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해부된 대형해양생물은 상괭이 7마리와 참고래 1마리, 남방큰돌고래 1마리, 돌고래 1마리, 붉은바다거북 2마리로 모두 소화기관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미세플라스틱 길이는 27.63㎛부터 4596㎛(4.6㎜)로 다양했다. 재질별로는 폴리프로필렌(PP)이 44%,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17%, 폴리에틸렌(PE)이 11%로 가장 많았다.

종별로 보면 상괭이가 단위 무게당 미세플라스틱이 1.67~11.63개로 가장 많이 검출됐는데, 이는 100m 이하 얕은 해역에서 주로 활동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즉, 연안에서 생활할수록 육지에서 바다로 흘러간 미세플라스틱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상괭이와 마찬가지로 얕은 해역에서 서식하지만 미세플라스틱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온 남방큰돌고래(0.46개)는 주식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반면 수염고래인 참고래(3.94개)는 바닷물을 통째로 들이킨 뒤 입속 여과장치로 먹이를 걸러내는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다량 섭취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에선 미세플라스틱이 대형해양생물의 생활사와 성장 등에 미치는 영향이 파악되진 않았다. 그러나 어류의 경우 미세플라스틱이 소화기관에 악영향을 끼치고,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과 중금속 등이 함께 체내에 축적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형 해양생물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에 참여한 인하대 해양과학과 김태원 교수는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대형 해양동물은 바다생태계에서 상위포식자로 이들이 먹이활동으로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됐다는 것은 마찬가지로 상위포식자인 인간 역시 같은 방식으로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인간도 미세플라스틱에 오염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지고 해양오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상괭이와 참고래, 남방큰돌고래, 돌고래, 붉은바다거북 모두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등재된 국제보호종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기후/환경

+

'양산' 쓰는 남자가 늘고 있다..."사막같은 햇빛 그늘막으로 제격"

여자들만 주로 사용하던 '양산'이 38℃를 넘나드는 폭염에 남자들도 여름 필수템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

AI로 탄소포집하는 콘크리트 찾아냈다

수백 년간 공기 중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찾아냈다.23일(현지시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비터비공과대

불볕더위 '아차'하면 온열질환에 쓰러져...폭염 안전수칙은?

전국 곳곳에 폭염경보 혹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폭염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폭염주의보는 최고 체감온도 33

EU·중국 '기후리더십' 주도권 노리나?…'기후협력' 공동성명 채택

미국과 대척점에 서있는 중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기술을 공동보급하기로 하는 등 협력관계를 더욱 밀착시키고 있다.24일(

산불 1년만에 한달 두차례 홍수...美 뉴멕시코주 마을의 수난

미국 뉴멕시코주 루이도소 마을이 또 물에 잠겼다. 이달에만 벌써 두번째 홍수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루이도소 일

폭염에 차량 방치하면 실내온도 90℃까지...화재·폭발 막으려면?

차량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90℃까지 치솟으면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폭염시 차량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5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