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펭귄'을 포함해 남극 토착펭귄의 3분의 2가 멸종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2일(현지시간) 12개국 28개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은 지구온난화가 현 추세대로 유지될 경우 황제펭귄을 포함한 남극 토착종의 3분의2가 2100년까지 멸종되거나 개체수가 감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황제펭귄의 멸종위험이 가장 높으며, 다른 바닷새들과 건조토양에 서식하는 선충류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이대로 증가할 경우 2100년까지 황제펭귄 서식지가 최대 80% 사라지고 개체수는 90%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연구는 특히 황제펭귄, 아델리펭귄 등 대표적인 남극 바닷새들에게 미치는 기후위기의 영향을 강조했다. 자스민 리(Jasmine Lee) 영국남극조사국(British Antarctic Survey) 수석저자는 "황제펭귄이 번식하려면 얼음이 필요하다"며 펭귄이 번식지를 잃으면서 개체수가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회충의 일종인 스코트네마린새(Scottnema lindsae) 등 인지도가 낮은 종들은 이미 사라지고 있다. 리 박사는 "이들은 염분이 많고 건조한 토양에서 생존하는데 얼음이 녹고 따뜻해지면서 토양 수분기가 늘고 염분이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리 박사는 "전지구적 기후행동을 통해 지구온난화를 막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보전 전략이지만 남극 비토착종 관리와 같은 조치보다 실현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온난화를 완화할 수 없더라도 모든 지역전략을 결합하면 남극 생물의 약 54%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또 10가지 주요 위협관리전략을 동시에 구현하면 연간 2300만달러의 비용이 들고 남극 생물의 최대 84%에게 혜택을 줄 것으로 추정했다.
따라서 연구팀은 인간활동이 남극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비용효율적인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방법으로는 운송선박 및 항공기의 탄소발자국 감축,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초목을 보호하는 것 등이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플로스생물학(Plos Biology)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