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선언은 '고려대·경북대' 2곳뿐
하버드, 코넬, 스탠퍼드 등 세계 유수의 명문대학들이 앞다퉈 캠퍼스 탄소중립을 선언한 것과 달리 국내 366개 대학 가운데 탄소중립을 선언한 곳은 고려대학교와 경북대학교 달랑 2곳에 그치고 있다.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자료에 따르면 서울권 대학에서 배출한 온실가스 총량은 2021년 기준 40만톤에 달한다. 당해 탄소배출권 가격인 톤당 2만8000원으로 환산시 약 112억원에 해당하는 양이다.
서울지역 온실가스 배출 상위 5개 대학은 △서울대(10만2958톤) △고려대(3만8341톤) △연세대(3만7539톤) △한양대(2만9164톤) △이화여대(2만5667톤) 등으로 서울권 배출량의 절반이 넘는다. 특히 서울대는 '2021년 서울시 에너지다소비건물 온실가스 배출량'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 탄소중립을 선언한 대학은 고려대학교뿐이다.
고려대학교는 2022년 6월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목표 달성시점은 2045년이다. 탄소저감을 위해 현재 야간 및 주말에는 냉난방 공급을 하지 않는다. 또한 LED조명 전환과 폐기물 감축 등으로 탄소저감 노력을 지속하며 2045년까지 태양광·수소연료전지 시설,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할 예정이다.
고려대학교에 앞서 캠퍼스 탄소중립을 선언한 대학교는 경북대학교다. 2021년 5월 전국 최초로 탄소중립을 선언한 경북대학교는 대구시·민간건설사와 힘을 합쳐 1500억원 규모의 탄소중립 캠퍼스를 조성할 계획을 갖고 있다. 2040년부터 경북대 캠퍼스 내에서는 친환경자동차만 운행할 수 있게 된다.
국내 대학들이 탄소중립을 외면하는 것과 달리, 해외 명문대학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앞다퉈 이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지난 2005년부터 그린캠퍼스가 추진됐다. 그 결과 현재 영국에서 캠브리지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과 임페리얼대학(Imperial College) 등 74개 대학이 친환경 인증(EcoCampus)을 획득했다.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는 아예 2035년까지 '배출제로' 목표를 선언하기도 했다.
미국 대학들도 2007년부터 그린캠퍼스를 추진하며 탄소중립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듀크대학교(University of Duke), 하버드대학교(University of Harvard), UC버클리(UCB),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엔젤레스(UCLA) 등 4곳은 2025년 탄소중립을 달성할 예정이다. 이외 QS대학평가 상위권 대학들 대부분이 2040~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그린캠퍼스 사업은 2011년부터 시작됐지만 탄소중립을 선언한 대학이 2곳에 불과할 정도로 실질적 참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예산 부족'으로 지목된다. 앞서 경북대학교가 1500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필요로 하는 반면, 현재 환경부 지원금은 학교당 연 1억2000만원에 불과하다.
한 대학 관계자는 "화석연료에 기반한 기존 시스템을 바꾸는 것은 예산부족으로 무리"라며 "현재는 여름·겨울철 냉난방 온도조절 등의 노력을 기울이는 수준"이라고 털어놨다.
이처럼 탄소중립에 소극적인 대학들은 지난해부터 ESG 관련과목과 MBA과정 개설에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EGS과정을 개설한 대학은 뉴스트리가 확인한 곳만 10여개 이상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정작 캠퍼스 탄소중립에는 무관심한 모습을 보이면서 ESG교육과정을 개설하는 것은 모순적"이라고 꼬집었다. 탄소를 내뿜는 캠퍼스에서 ESG교육이 이뤄지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창환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연구원은 "그린캠퍼스 사업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예산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정부와 입법부가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국내대학의 탄소중립은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