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는 다 어디갔나?…18년새 95% 줄었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3 11:24:52
  • -
  • +
  • 인쇄
10㏊당 2289마리→22마리로 급감
"흔한 종 개체수 감소는 생태계 경고"
▲봄의 전령 제비 (사진=연합뉴스)

매년 처마 밑에 집을 짓고 봄을 알리던 제비 수가 18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95%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세계자연기금(WWF)의 지구생명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전날 서울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창용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는 1987년 10㏊(헥타르)당 2289마리씩 발견되던 제비가 2005년 들어 동일 면적에 22마리씩밖에 보이지 않게 됐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제비가 감소했다는 건 이들의 주식이자 생태계 기반을 구성하는 곤충이 그만큼 감소했음을 보여준다"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의 변화를 살피면 생태계 전체의 변화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최 교수 등 연구진이 지난 2020년 5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1970년대 연구 목적으로 4만6826마리씩 포획되던 꼬까참새는 2010년을 전후해 포획량이 94.8% 줄어 2422마리밖에 잡히지 않았다. 꼬까참새와 같은 참새목 되새과 조류인 쑥새도 같은 기간 포획량이 95.8% 줄어 국내에 서식하는 일부 조류의 개체 수 급감이 확인된다.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참새 떼(사진=연합뉴스)

연구진은 지난해 3월 국제학술지 '생태와 진화의 최전선'(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에 개재한 논문에서도 지난 20년 동안 한국서 번식하는 가장 흔한 조류 52종 가운데 20종의 개체 수가 감소했다고 전했다.

환경부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마다 개정해 발표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에 따르면,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물은 2007년 221종에서 2022년 282종으로 15년 만에 61종 늘었다.

최 교수는 "생물종 다양성 감소는 희귀종에서만 나타난다고 생각하지만, 개체 수가 많아 실질적으로 생태계를 지탱하는 흔한 종의 개체 수 감소는 생태계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생물들은 지금까지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그런 노력에 실패할 가능성이 명백해지고 있다"며 "(변하는) 환경에 견딜 수 있는 일부 종만 번영하면 생물종 다양성이 주는 혜택이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