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기업들 '어쩌나'...정부 '2030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낮춘다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2-08-30 15:51:35
  • -
  • +
  • 인쇄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NDC상향안보다 후퇴
원전 비중 8.9%p 늘리고, 재생E 비중 8.7%p 줄여

정부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를 기존 30.2%에서 21.5%로 낮췄다. 대신 원전발전 비중을 32.8%까지 대폭 높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이같은 내용 등을 담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을 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에서 마련했다고 밝혔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기사업법에 따라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전력 설비와 전원 구성을 설계하는 중장기 계획이다. 이번 10차 계획은 올해부터 2036년까지 적용된다.

전 정부가 지난해 10월 확정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은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23.9%,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30.2% 가져가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30.2%에서 21%로 낮추는 한편 원전 발전 비중을 23.9%에서 32.8%로 확대했다. NDC 상향안보다 원전 비중을 8.9%포인트 늘리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8.7%포인트 줄인 것이다. 이에 따라 RE100(사용전력 100% 재생에너지화)을 선언한 기업들의 넷제로 실현에 빨간불이 켜졌다.

석탄발전 비중은 2030년 21.2%로 NDC 상향안(21.8%)보다 0.6%포인트 낮추기로 했다.

원전 석탄 LNG 신재생 무탄소 기타 합계
9차 발전량 146.4 175.1 136.6 121.7 - 6.0 585.8
비중 25% 29.9% 23.3% 20.8% - 1% 100%
NDC상향안 발전량 146.4 133.2 119.5 185.2 22.1 6.0 612.4
비중 23.9% 21.8% 19.5% 30.2% 3.6% 1% 100%
10차 발전량 201.7 130.3 128.2 132.3 13.9 8.6 615.0
비중 32.8% 21.2% 20.9% 21.5% 2.3% 1.3% 100%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총괄분과위원회는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는 준수하되 보다 현실적인 감축 수단을 마련했다"며 "원전의 계속운전, 건설중단 원전 속개 등을 통해 원전 비중을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는 합리적 보급 목표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기업들이다. 최근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RE100 가입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량이 더 줄어들게 됐기 때문이다. RE100은 글로벌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사용전력을 모두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이니셔티브다. 현재 RE100 기준에는 원전이 포함돼 있지 않다. 즉 원전으로 생산한 전력은 RE100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국내 기업들이 RE100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가 필수다. 재계에서는 NDC 상향안 수준으로 재생에너지 비중을 끌어올려도 부족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런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기는커녕 오히려 줄이겠다니 기업들 입장에서는 RE100을 포기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나온다.

A사 RE100 추진팀장은 "대부분 기업들은 수출할 때 불이익을 당하지 않기 위해 RE100, 탄소중립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국내 전력 공급 사정상 불가능한 목표 아니냐는 우려가 큰데,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를 줄이는 게 말이 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에너지믹스에 대해 정치적인 접근보다는 현재 기업들에게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먼저 봐야할텐데"라며 말을 줄였다.

이번 계획안은 환경단체에게도 지적을 받고 있다. 정상훈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산업부가 발표한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기후위기 대응과 기업의 수출 경쟁력까지 동시에 포기하려는 수준의 실망스러운 계획"이라며 "현재 RE100 캠페인에 참여한 한국 기업들마저 재생에너지 조달 비율이 2% 수준밖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미흡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대한 정부의 책임이 매우 크다"며 "국내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2030년까지 40% 이상의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가 필요하다고 인식중"이라고 덧붙였다. 즉 이런 상황에서 이번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계획은 전 세계적 에너지 전환 추세에도 매우 뒤쳐지는 계획이라는 비판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기후/환경

+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