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화 쓰레기 한해 14톤' 김해시, 공원묘역 '조화 반입금지'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1-14 15:55:33
  • -
  • +
  • 인쇄
이번 설 명절부터 금지조치...'탄소배출 감축'
전국으로 확대되도록 중앙정부에 건의예정
(사진=연합뉴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인조식물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양산할 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을 방출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꽃을 성묘에 많이 사용한다. 보존기간이 길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명절 때마다 공원묘역들은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아야 했다. 

이에 경상남도 김해시가 이번 설 명절때부터 시내 4곳의 공원묘역에 플라스틱 조화에 대해 반입을 금지하기로 했다. 공원묘역에 조화반입을 금지하는 것은 김해시가 처음이다.

시내 공원묘원 4곳도 시의 방침에 따르기로 하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시와 공원묘역들은 오는 17일부터 공원묘원 진입도로와 지정 게시대 등에 이를 알리는 홍보 현수막을 일제히 걸기로 했다. 아울러 이행 실태 모니터링도 진행한다.

공원묘원들도 성묘객들에게 이같은 사실을 알리는 문자를 보내고 조화가 반입되지 않도록 조처할 예정이다.

화훼협의회는 생화 헌화 캠페인에 나서기로 했다. 설 당일인 2월 1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공원묘원 4곳에서는 생화를 무료로 나눠주는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해시는 공원묘원 내 조화 사용 근절로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기고 지역 화훼산업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해시는 공원묘역 4곳에서 연간 14톤의 플라스틱 조화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고, 이를 소각처리하면 연간 11t 이상의 탄소가 배출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매년 2000톤 이상의 인조식물이 수입되고 있다. 이는 플라스틱 폐기물 양산뿐 아니라 화훼농가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간 플라스틱 꽃 수입량은 2019년 2318톤, 2020년 2092톤에 달했고, 올 8월말까지 수입된 물량도 1488톤이어서 연말까지 2000톤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김해시는 조화 사용근절 정책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