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뿔' 지역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더 심각한 가뭄에 직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교(Utrecht University)와 벨기에 겐트대학교(Ghent University) 등이 주축이 된 국제연구팀이 발표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는 지구에서 물이 이동하는 방식인 수문 순환에 악영향을 미쳐 열대 지방과 같이 기후가 따뜻하고 한 해의 농업을 우기에 크게 의존하는 지역에서 큰 문제가 된다고 우려했다. 연구진은 "이 연구결과는 호수 퇴적물에서 재구성한 지난 7만5000년동안의 수문 기후 변동성을 기반으로 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로는 강수량이 기온 상승과 함께 증가해야 한다"며 "그러나 아프리카의 뿔 지역은 기온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 동안 더 빈번한 가뭄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불일치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연구팀은 케냐와 탄자니아에 위치한 찰라 호수의 퇴적물을 분석해 지난 7만5000년동안의 온도와 수분간의 상호 작용을 조사했다.
그 결과, 연구진들은 빙하기에는 이 지역의 수분과 온도 사이에 양의 관계가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런데 약 1만1700년 전 홀로세가 시작됐을 때부터 수분과 온도가 음의 상관관계를 띤 것이다. 홀로세의 기온은 현재와 비슷했고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250ppm 이상이어서 '기후변화의 미래' 라고도 불린다. 연구진들은 "그 시점에서 온도와 수분의 관계가 바뀌었다"며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습기가 많아지는 대신 건조해졌다"고 말했다.
연구진들은 "이것이 일종의 티핑포인트를 넘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에 이번 연구를 주도한 알릭스 백스터(Allix Baxter) 위트레흐트대학 지구과학부 교수는 "인위적인 온난화가 계속될 경우 아프리카의 뿔 지역은 더욱 건조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였다.
라파엘 카피요(Raphael Kapiyo) 마세노대학(Maseno University)의 환경과학부 교수는 "과거에는 기온과 수분이 함께 작용해 기후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이 지역에서 기온과 수분의 연관성이 분명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 연구의 의미는 우리 지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우리는 이미 가뭄의 고통스러운 증가를 목격했으며, 이러한 발견은 상황 악화에 대한 두려움을 강화한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약 5000만명과 인근 지역의 1억명이 가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최대 2000만명이 심각한 식량 불안과 잠재적 기근에 직면했다.
이는 최근들어 더욱 심해졌다. 2020년 10월부터 40년만에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것이다. 특히 5년이나 지속된 강수량 부족으로 이 지역은 40년만에 가장 심각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435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즉각적인 인도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18만명의 난민이 소말리아와 남수단을 떠난 '가뭄 난민' 신세가 됐다.
과학자들은 이런 가뭄은 기후변화 때문이다고 입을 모았다. 세계기상기여도(World Weather Attribution) 소속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농업 가뭄은 온실가스 배출의 영향이 없었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이 지역에 대한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적십자 기후센터의 기후고문인 셰이크 케인(Cheikh Kane)은 "취약성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과 더불어 극한기후에 대한 적응 투자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공식 및 비공식 사회보호 메커니즘, 조기경보 시스템, 효과적인 가뭄관리 등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가 취약성과 갈등, 환경파괴, 비에 의존하는 생계, 빈곤 및 소외를 포함한 취약성의 동인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진들은 이번 연구결과들 두고 "인간이 초래한 온난화가 계속된다면 아프리카의 뿔이 앞으로 더 건조한 시대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강력한 신호"라며 "기후모델이 열대지역의 날씨를 예측할 때 땅과 공기가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Journal)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