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m 땅속 지열로 냉·난방...뉴욕 '저탄소 아파트' 착공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28 15:57:29
  • -
  • +
  • 인쇄
집집마다 온수부터 단지 공용수영장까지
배출량 53% 감축...20년내 추가비용 회수
▲2025년 뉴욕 브루클린 지구에 들어설 예정인 최초의 지열식 아파트단지 예상도 (사진=렌드리스)


150m 땅속 지열을 끌고와 냉·난방에 활용하는 '저탄소 아파트단지'가 뉴욕 브루클린에 들어선다.

호주 부동산투자·건설업체 렌드리스(Lendlease)는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지구에서 한 아파트단지 건설에 착수했다. 단지 내 최고층 건물은 37층 높이로 총 834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다.

3000평이 넘는 해당 부지는 뉴욕 이스트강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물가를 마주하고 있지만, 눈여겨볼 지점은 전망 좋은 높이가 아닌 지반공사다. 현재 공사현장에서 크레인은 찾아볼 수 없고, 초대형 굴착기만 즐비하다. 이들 굴착기는 부지 내 320개 지점에 500피트(약 152.4m) 깊이의 구멍을 내는 작업에 투입되고 있다.

구멍의 정체는 바로 아파트단지의 냉·난방설비로 사용될 배관이 들어설 공간이다. 2025년 완공 예정인 이 아파트단지는 그 자체로 지열을 활용한 하나의 커다란 '히트펌프'가 된다. '히트펌프'는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퍼올리는 장치로, 렌드리스는 집집마다 쓰는 온수부터 단지 내 공용수영장에 이르기까지 전체 냉·난방 수요를 지열로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지열을 대규모 거주단지에 활용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원리는 기본적인 열 순환 법칙을 따른다. 땅속 흙이 얼어붙기 시작하는 지점인 '동결심도'에서 배관의 물은 약 12.8℃로 변동 없이 유지된다. 지반 위 대기온도가 이 기준점보다 높으면 열을 흡수한 물이 배관을 타고 동결심도로 내려가 냉각되고, 대기온도가 이보다 낮으면 물이 동결심도의 열을 상부로 끌어올린다. 배관의 물에는 부식이나 동결을 막는 첨가제가 들어가 있어 끊임없이 순환하는 물이 아파트단지 실내 적정온도를 유지시킨다.

▲하나의 거대한 히트펌프로 작용하는 아파트단지 (사진=렌드리스)


이같은 지열식 아파트단지는 기존 냉·난방설비를 사용하는 같은 규모의 건축물에 비해 탄소배출량을 53%가량 저감할 수 있다. 다만 건축비용이 6% 더 비싼데, 에너지효율이 높아 20년 안에 충분히 회수할 수 있는 금액이라는 게 렌드리스의 설명이다.

특히 뉴욕시는 내년부터 특정규모 이상의 건축물부터 탄소배출량 감축의무를 단계적으로 부과하는 조례를 시행할 예정이어서 이같은 시도가 더욱 각광받을 전망이다. 뉴욕 내 대형건축물은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의 40%, 2050년까지 80%를 저감해야 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뉴욕시의 목표가 건물주는 물론 세입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존 건축물들을 친환경 건축물로 전환하기 위해 대대적인 개·보수 작업이 필요하고, 그만큼 큰 비용이 따라붙으면서 부동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렌드리스는 이번 지열식 아파트단지 834세대 가운데 30%를 '부담가능한 주거'(affordable housing)로 내놓을 계획이다. '부담가능한 주거'는 저소득자·무주택자 등 지원이 필요한 중산층 이하 서민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제공되는 '적정주택'으로, 뉴욕시의 대표적인 주거복지 정책이다.

렌드리스 뉴욕 개발책임자 스콧 월시는 "이번 지열식 아파트단지 착공은 뉴욕의 야심찬 기후목표와 2040년 넷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렌드리스의 목표가 만나면서 생겨난 기회"라면서 "지열을 활용한 건축은 환경적 이점 뿐 아니라 비용효율 측면도 고려할 수 있어 완공 시점이 되면 시장성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