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 기술로 위성 발사한 세계 7번째 국가
국산 기술로 개발된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두번째 시도만에 우주로 날아오르는데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1일 오후 4시 누리호를 발사한지 1시간 10분만에 지상과 교신에 성공하면서 궤도진입에 성공한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전남 나로우주센터 발사 현장에서 "누리호 발사 및 위성 궤도 안착까지 모두 성공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자력으로 실용급 위성을 우주로 쏘아올리는 능력을 갖춘 7번째 국가가 됐다.
이날 누리호 발사는 처음부터 순조롭게 진행됐다. 발사 직후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성능검증위성 분리, 위성 모사체 분리 등 모든 단계에서 성공했다.
관건은 위성체의 목표 속도인 초속 7.5km에 도달하느냐 여부였다. 지난해 10월 1차 발사에서도 위성체를 궤도에 올리는 것까지는 성공했지만 목표속도 도달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날 두번째 발사에서는 위성체 목표 속도 도달까지 성공했다.
우주로 날아간 누리호는 남극 세종기지 안테나와 교신하는데도 성공했다. 위성의 위치도 확인됐다. 22일 오전 3시쯤부터는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이 가능해진다. 항우연은 교신을 통해 위성의 상태를 세부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다.
'누리호' 발사가 성공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1차 시도의 아쉬운 실패와 이를 토대로 한 연구진들의 보완과정이 진행됐다. 2차 발사는 당초 지난 15일로 예정돼 있었지만 강풍이 부는 바람에 발사일정이 16일로 미뤄졌다. 하지만 16일에는 센서 이상이 발견돼 발사 일정이 다시 연기됐다.
누리호는 총 길이 47.2m, 중량 200톤(t) 규모다. 2010년 3월부터 개발을 시작했고, 역할은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올리는 것이었다. 개발기간은 무려 12년 3개월이 걸렸고, 이 과정에 투입된 예산은 약 1조9572억원에 달했다.
우주 발사체 기술은 미사일 기술 통제체제(MTCR) 등 국제규범에 따라 국가간 기술이전이 엄격히 금지된 분야다.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기술과 대동소이해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주발사체 기술은 자력으로 개발하는 것 외에는 보유할 방법이 없다.
이에 따라 이번 발사성공의 의미는 남다르다.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독자적인 우주운송 능력을 확보하게 됐고, 자주적인 국가 우주 개발 역량을 온전히 갖추게 된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오는 2023년 전반기 중 누리호 3차를 발사할 예정이다. 또 2027년까지 총 4번을 더 발사할 계획이다. 누리호 발사로 구축한 기술과 경험을 더욱 발전시켜 우주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