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탈춤은 중국서 유래"…中언론의 도발 왜?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12-13 16:30:13
  • -
  • +
  • 인쇄
22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에 딴지
서경덕 "삐뚤어진 중화사상…선 넘었다"
▲중국 왕이망 기사 캡처, '한국 탈춤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중국 절반 따라왔다'라고 적혀있다(사진=서경덕 교수)

한국의 탈춤이 최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가운데 중국 일부 언론이 탈춤 등 한국 문화유산 대부분이 중국문화를 표절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선을 넘었다"고 비판했다.

지난달 30일 탈춤은 모로코 라바트에서 열린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한국에서는 22번째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한국은 전세계 3번째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많이 보유한 국가로 1위는 중국(38개), 2위는 일본(23개)이다.

이에 대해 텅신신원(騰迅新聞) 등 일부 매체는 "조작의 신, 한국의 탈춤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사실 탈춤은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전했다.

인터넷 매체인 '선강(沈港·선전과 홍콩) 온라인'은 "문화유산 등재 시 항상 중국과 충돌하는 국가는 한국"이라고 주장했다.

또 중국 왕이(網易)망은 '한국 또 등재 성공: 중국 문화 베끼기로 세계 3위 급상승'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은 문화 표절국", "줄다리기, 단오제, 연등축제 등 남김없이 베낀 문화 절도"라는 내용의 뉴스를 내보냈다. 특히 탈춤은 중국식 탈춤인 '나희'에서 유래한 것이 틀림없다고 주장했다.

▲서경덕 교수 페이스북 캡처

위 소식을 접한 서경덕 교수는 13일 개인 소셜미디어(SNS)에 "한 누리꾼의 제보를 받고 경악을 금치못했다"며 "지난 2013년 한국의 '김장 문화'가 이미 유네스코에 등재됐는데도 김치가 중국의 파오차이(泡菜)에서 기원했다고 억지 주장을 계속 펼치는 와중인데, 이번엔 탈춤까지 그야말로 선을 제대로 넘었다"고 비판했다.

또 "한국의 문화가 전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주목받다 보니 이젠 중국이 위기감을 많이 느끼나 보다"라며 "이런 위기감에서 오는 삐뚤어진 중화사상의 발로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한국의 탈춤에 관한 다국어 영상을 제작해 곧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중공업,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

삼성중공업이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삼성중공업은 독자 개발한 '유기랭킨사이클(ORC:Organic Rankine Cycle) 기반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쿠팡 '못난이 채소' 새벽배송 3년...직매입 물량 8000톤 돌파

쿠팡은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새벽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 누적 규모가 8000톤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쿠팡은 지난 2023년부터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기후/환경

+

[COP30] 교황의 묵직한 경고..."기후위기 대응, 더는 미룰 수 없다"

교황 레오 14세가 세계를 향해 "기후위기 대응을 즉각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묵직한 경고를 날렸다.교황 레오 14세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는 제30차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앞으로 '1000년' 이어진다

탄소중립을 달성해도 산업화 이후 오른 지구의 평균기온이 최소 1000년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17일(현지시간) 21세기 호주 연방산업연구기구(CSIRO)

[COP30] "이건 생존이다!"…기후 취약국들 COP30에서 '절규'

기후취약국들이 "기후위기는 생존 문제"라며 선진국의 실질적 감축과 재정지원 확대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17일(현지시간)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

지역마다 제각각 풍력·태양광 '이격거리'...기후부, 규제 합리화 추진

지역마다 제각각인 태양광과 풍력의 이격거리를 중앙정부 차원에서 규제 합리화를 추진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서울 영등포구 한국에너지공단 서울

'대기의 강' 때문?...美 LA에 역대급 폭우로 '물난리'

미국 로스앤젤레스(LA)를 비롯한 캘리포니아 남부지역에 폭우가 나흘 넘게 이어지면서 인명피해까지 발생했다.17일(현지시간)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