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 4% 불과…풍력·태양광의 10배 수준
암호화폐 채굴에 따른 기후영향이 금 채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멕시코대학은 암호화폐의 기후영향이 금 채굴보다 크고 천연가스 추출 및 육류용 소 사육과 맞먹는 수준이라는 연구결과를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진은 상품의 기후비용을 전체 시가총액의 일부로 분석한 결과 디지털화폐생산으로 인한 기후피해는 지난 5년간 시장가치의 평균 35%인 것으로 밝혀졌다. 2020년에는 82%까지 오르며 정점에 달했다.
이는 시장의 33%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히는 쇠고기, 46%에 달하는 천연가스에 필적한다. 시장 전체가치의 95% 비율로 큰 피해를 주는 석탄보다는 낮지만 암호화폐 지지자들이 가장 많이 비교하는 상품인 금의 기후비용을 훨씬 능가했다. 금의 막대한 전체가치가 채굴에 따른 환경영향을 축소시켜 기후영향이 시장가치의 4%에 그쳤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진은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기보다는 '디지털쇠고기'에 가깝다고 일침했다.
디지털화폐의 불균형적인 기후해악은 거래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프로세스에 의존하는 '작업증명시스템(proof-of-work mining)'에서 비롯된다. 비트코인 거래 참여자들은 막대한 전기비용을 대가로 새로운 비트코인을 얻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진은 20일 중 하루 이상 꼴로 이들 '비트코인 채굴자'가 발생시킨 기후피해가 생산되는 코인의 가치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는 막대한 전력소비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재생에너지가 이러한 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으나 연구진은 생성된 가치 1달러당 기후피해가 풍력·태양광 발전보다 10배 더 심각하다고 일축했다.
이번 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도 비트코인의 기후영향을 분석한 결과 작업증명에 사용되는 화석연료 비율이 지지자들의 주장보다 훨씬 높다고 밝혔다.
케임브리지대학의 비트코인 전력소비지수는 오랫동안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예상 전력사용량을 추적해왔으며, 이번 달 '마이닝맵'을 추가해 비트코인 채굴자의 지리적 분포를 나타냈다.
연구진은 해당 데이터를 지역별 발전량 차이에 대한 이전 연구들과 결합해 재생에너지 비율을 추정한 결과 화석연료가 전체전력의 약 2/3(62.4%),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은 37.6%(이 중 재생에너지 26.3%, 원자력 11.3%)를 차지해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비율을 59.5%로 추정한 업계 조사결과에서 눈에 띄게 벗어났다고 지적했다.
다만 여전히 탄소집약적임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가치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해 지난 12개월 동안 비트코인의 전체 배출량이 감소했다. 비트코인 가격 및 채굴자에게 가는 예상 지급액이 2/3로 하락해 사업을 접거나 중단한 채굴자가 증가했으며 그 과정에서 2021년 대비 배출량이 약 1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케임브리지 연구팀은 이렇게 떨어진 배출량이 네팔이나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등의 국가배출량과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티픽리포트(Scientific Reports)' 학술지에 실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