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원짜리 주가가 단숨에 3만원...두산 'SMR'이 뭐길래?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1-06-09 07:00:03
  • -
  • +
  • 인쇄
탄소발생없는 청정에너지 발전소
경제성과 활용성도 높아 성장예상
(자료=두산중공업)

탈원전 정책으로 맥을 못추던 두산중공업 주가가 최근 가장 핫한 종목으로 떠올랐다. 5월 중순까지만 해도 1만2000원대에 머물던 주가는 지난달말 열린 한미정상회담 이후 연속 상승흐름을 타다 지난 7일 3만2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정상회담 내용이 보도된 5월 26일 9.52% 오른 이후 10% 이상 오른 날만 4거래일이다.

한동안 지지부진하던 주가를 단숨에 끌어올린 동력은 두산중공업의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이다. 한미 양국 정상이 해외 원전사업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면서 두산중공업의 SMR 사업이 주목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SMR은 Small Modular reactor로, 전기출력이 300메가와트일렉트릭(MWe) 이하인 소형원전을 말한다. 전력을 보낼 송전망이 충분히 설치돼 있지 않은 지역이나, 외딴 지역에 소규모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 주로 쓰인다. 출력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재생 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백업전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산화탄소 배출도 없다.

게다가 사고 발생시 원전원의 별도 조작없이도 안전성을 유지하는 '피동형 설계'가 반영돼 위험성도 기존 원전에 비해 낮은 편이다. 모듈 규격도 대형원전 격납건물의 5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지름 4.5m, 높이 23m 규모여서 부지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

SMR의 장점으로는 경제성도 꼽힌다. 기존 대형 원전의 원자로, 증기발생기, 가압기, 주배관 등이 원자로 모듈에 일체화되고, 격납건물(콘크리트돔)도 원자로 모듈에 포함돼 있다. 또 공장에서 제작 가능한 모듈형 방식을 도입해 건설비용이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많은 국가에서 추진하고 있는 수소경제에도 SMR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자력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수증기를 전기분해해서 수소로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담수 생산, 공정열 이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SMR은 전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를 대체하는 청정에너지 발전소로 꼽힌다. OECD/NEA는 2035년까지 최대 21GWe의 SMR이 건설될 것으로 전망했다. NIA는 2040년까지 34GWe 건설을 예상했다.

특히 미국 바이든 정부가 SMR에 대해 관심이 많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후보시절 원자력을 청정에너지에 포함해 공약을 발표했다. SMR이 미국 정부의 지원하에 성장할 시장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현재 두산중공업은 미국 뉴스케일(NuScale)이 발주한 SMR 제작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당초 두산중공업은 뉴스케일의 원자로 모듈(NPM) 입찰에 참여했지만 미국 BWXT가 사업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뉴스케일은 두산의 역량과 기술을 높이 평가해, 지분투자를 요청하며 해외건설 원전 제작사로 참여해줄 것을 제안했다. 이에 두산은 뉴스케일에 4400만달러의 지분을 투자했고, BWXT와 함께 NPM 및 핵심부품 제작사로 참여하게 됐다. 두산중공업은 "앞으로 이 사업에서 최소 13억달러(약 1조5000억원) 규모의 핵심 기자재를 공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에 70여개 SMR 모델이 개발중이다. 하지만 현재 SMR을 제작할 수 있는 기업은 두산중공업을 포함해 BWXT(미국), 프라마톰(프랑스), Ensa(스페인), 미쯔비스와 IHI(일본) 정도다. 

또 두산중공업과 함께 하고 있는 뉴스케일 SMR은 최초로 미국 원자력 규제기관(NRC)의 승인을 받았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허가로 꼽히는 NRC로부터 승인을 받은 유일한 SMR이라는 점에서 뉴스케일의 경쟁력 그리고 향후 사업성 등을 점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전력기관인 UAMPS는 현재 아이다호주에 SMR 원전건설을 추진중이다. 뉴스케일은 모회사인 Fluor를 통해 이 사업에 원자로 모듈 설계와 구매를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UAMPS는 NRC로부터 원전건설 허가를 2025년에 취득할 계획이며 이후 2029년에는 첫번째 NPM이 상업운전을 개시할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KT 새 대표이사 후보군 33명...본격 심사 착수

KT의 대표이사 후보 공개모집이 마감되면서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이 33명으로 확정됐다.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4∼16일 진행한 대표이사 후보

전북도, 다회용기 민간사업자 모집

전북특별자치도가 '2026 다회용기 사용 촉진 지원사업'을 수행할 민간 사업자를 오는 12월 24일까지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이는 자원 순환을 목표로 도

기후/환경

+

섬에서 새로 발견된 미기록 곤충 55.5% '열대·아열대성'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약 절반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농촌 기후대응 직불금' 도입되나...기후보험 대상 확대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을 재배하기 적합한 지역이 바뀌는 경우나 기후변화 대응 품종을 도입할 때 직불금을 주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한다.정부는 19

韓 기후대응지수 63위로 또 '꼴찌' 수준...잃어버린 3년의 결과?

우리나라의 기후대응 지수가 전세계 63위를 기록하면서 지난해에 이어 또 '꼴찌' 수준을 기록했다.18일(현지시간) 공개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Climate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OP30] '합의문' 초안 나왔다...탈탄소 격차해소·기후재원 마련 '관건'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합의문 초안이 공개됐다.18일(현지시간) 현지 일간 G1과 AP·로이터통신

화학 과정없이 미생물로 섬유 염색하는 기술 개발됐다

국내 연구진이 화학과정없이 미생물만으로 섬유에 색상을 입히는 친환경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 연구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