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기행] 서울에서 맛보는 무안산 '뻘낙지'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1-05-31 09:49:00
  • -
  • +
  • 인쇄

낙지는 2종류가 있다. 갯벌낙지와 통발낙지. 갯벌낙지를 뻘낙지라고도 부른다. 갯벌을 뻘이라고도 한다. 뻘낙지는 말 그대로 갯벌에 산다. 뻘낙지를 잡으려면 힘이 든다. 갯벌을 파면서 잡아야 한다. 삽질을 계속해야 한다. 보통 힘든 일이 아니다. 낙지는 몸놀림이 매우 빠르다. 낙지와 신경전을 펼쳐야 한다. 낙지잡이 전문가도 신경을 곤두세워야 한다. 통발낙지는 바다에 산다. 돌 틈 사이에 몸을 숨기고 있다. 통발에 미끼를 넣어 잡는다. 낙지는 야행성이다. 바닷물이 빠졌을 때 밤에 횃불을 켜서 잡기도 한다. 불빛에 놀란 낙지가 도망을 간다. 도망갈 때 그냥 주우면 된다. 이런 방식을 '해루질'이라 부른다.

사람들은 말한다. 뻘낙지가 맛이 좋고 영양도 풍부하다고. 이유가 무얼까. 갯벌은 바닷 속 허파같은 존재다. 바다 생태계를 정화시켜준다. 영양의 보고다. 게르마늄 셀레늄 등이 흘러넘친다. 수많은 무기질이 존재한다. 게 딱총새우 고둥 조개 갯지렁이 짱뚱어 등 다양한 생물이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다. 갯벌의 영양제를 섭취하며 살아간다.

국내에는 천혜의 갯벌이 존재한다. 서해안 갯벌이 세계 3대 갯벌로 손꼽히고 있다. 유럽 북해 연안, 미국동부 조지아 연안 갯벌과 함께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서울 근교에는 강화도 갯벌이 있다. 전남지역의 신안 무안 갯벌도 유명하다. 국내산 뻘낙지는 최고의 환경에서 살아간다. 당연히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고 있다. 아쉬움이 있다. 공급이 소비를 못 따라간다. 부족한 양은 중국산으로 대체한다.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전국에는 많은 낙지집이 있다. 낙지집은 많은데 국내산 뻘낙지를 먹기가 쉽지 않다. 구입하기 어려워서 그렇다. 서울에서 뻘낙지 맛을 즐길 수 있는 식당이 있다. 식도락가에게 알려진 맛집이다. 점심은 밥 손님. 저녁은 술손님으로 가득 찬다. 예약해야 편히 먹을 수 있다. 양재역 부근에 있다. 상호가 '명가 무안 뻘낙지'다. 전남 무안 갯벌의 낙지를 맛볼 수 있다. 무안에서 뻘낙지를 직접 공급받는다. 지인이 매일 올려 보낸다.

주인 임수진(57)씨는 뻘낙지 고유의 맛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한다. 산낙지 낙지볶음 낙지찜 낙지탕탕 낙지초무침이 대표음식이다. 산낙지에서는 낙지의 힘이 느껴진다. 한 점을 먹으면 입천장에 쩍쩍 붙는다. 힘만 좋은 게 아니다. 고소함이 뒤따른다. 씹을수록 쫄깃함이 느껴진다. 싱싱함은 기본이다. 갯벌냄새가 나는 기분이다. 낙지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산낙지볶음도 특유의 맛을 자랑한다. 양배추 단호박 양파 등이 들어간다. 손님의 건강을 위해 신경 쓴다. 일반식당과 다른 점이 있다. 단호박을 넣는다. 단호박으로 단맛을 낸다. 되도록 인공감미료를 쓰지 않으려 한다. 매콤하면서도 달콤하다. 주인의 정성이 엿보인다.

낙지초무침은 조리장의 비법이 빛을 낸다. 초장은 40년 경력의 조리장이 직접 만든다. 여러 가지 과일을 갈아 넣어 특유의 맛을 낸다. 새콤하면서도 달콤함으로 입맛을 돋궈준다. 살짝 데친 낙지에 초장과 함께 미나리 등 채소를 듬뿍 넣는다. 낙지의 쫄깃함과 초장의 새콤달콤, 채소의 아삭함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산낙지찜은 2가지로 나온다. 살짝 데친 낙지숙회는 담백하다. 콩나물을 넣어 볶아낸 찜은 고소함이 혀를 자극한다.

낙지탕탕은 먹기 편하게 나온다. 잘게 썬 낙지가 참기름 깨소금 달걀노른자와 함께 상에 오른다. 마늘 고추는 식성에 맞춰 먹으라고 접시 한쪽에 자리잡는다. 여러 색깔이 조화를 이룬다. 접시를 보는 순간 식욕이 부쩍 생긴다. 낙지의 꿈틀거림에 입맛이 돋는다.

이곳에서는 하루평균 10~15접의 뻘낙지를 무안에서 공급받는다. 낙지 1접은 20마리다. 하루에 200~300여 마리 낙지가 팔린다. 물건이 모자라 강진과 장흥의 뻘낙지로 보충하는 경우도 있다. 손님상에는 8가지 기본반찬이 깔린다. 전도 나온다. 무전 파래전 등 남도음식을 맛 볼 수 있다. 장흥이 고향인 주인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맛보다 귀한 게 있다. 주인의 친절함이다. 손님이 나갈 때 기분이 좋다. 주인이 최고의 서비스를 한다. 언제나 웃는 얼굴이다. 친절함이 몸에 배있다. 모두가 회장 대접을 받는 기분이다. 한번 들르면 계속 찾게 된다. 주인의 친절함에 단골손님이 많다. 요식업 20년 경력의 주인이 손님의 마음을 휘어잡는다.

퇴근길 술 한 잔 생각날 때 들려봄직 하다. 뻘낙지의 깊은 맛과 주인의 친절함이 하루의 피로를 풀어줄 게다.


글/ 김병윤 작가
   춘천MBC 아나운서
   주간야구 기자
   내외경제(현 헤럴드경제) 기자
   SBS 스포츠국 기자
   저서 <늬들이 서울을 알아>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