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가 땔감 역할'...경북지역 산불피해 키웠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8 11:09:06
  • -
  • +
  • 인쇄
▲안동 남선면까지 번진 산불 (사진=연합뉴스)

지난 22일 의성에서 성묘객의 실화로 발생한 산불은 7일째 접어들면서 경상북도 지역에 역대급 산불 피해를 낳았다. 

28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경북 시·군별 산불영향구역은 의성 1만2821㏊, 안동 9896㏊, 청송 9320㏊, 영양 5070㏊, 영덕 8050㏊으로, 4만5157㏊에 달한다.

아직도 산불이 완전히 진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영향구역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경북지역 평균 진화율은 85%인 것으로 집계됐다. 안동 진화율은 28일 오전 5시 기준 85%를 보였고, 청송 진화율은 89%까지 높아졌다. 영양은 76%, 영덕은 65%의 진화율을 보였다. 

다른 지역에 비해 유독 경북지역의 산불피해가 컸던 것은 소나무 숲이 가장 많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경상북도 소나무 숲 면적은 전국 1위다. 전체 산림면적 가운데 소나무 숲이 차지하는 비중도 약 35%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산림청 임업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경북 소나무(소나무·해송) 숲 면적은 45만7902㏊로 강원(25만8357㏊), 경남(27만3111㏊)보다 훨씬 넓다.

문제는 이 소나무가 산불이 발생하면 땔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소나무는 활엽수보다 1.4배 더 잘 타고 불이 지속되는 시간도 2.4배 긴 것으로 국립산림연구원의 연구결과에서 나왔다. 이는 소나무의 송진이 불이 잘 붙고 오래 타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소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그대로 붙어 있어 나뭇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만 태우고서 확산하는 수관화(樹冠火)가 발생하기도 쉽다. 수관화가 생기면 많은 불똥이 만들어지고 불이 수십∼수백m 날아가는 비화(飛火) 현상이 생긴다. 이번에도 이 산에서 저 산으로 수킬로미터씩 휙휙 날아다니는 불씨가 산불을 키웠다. 

그러다보니 22일 의성 야산에서 시작된 산불은 24일 안동으로 번졌고, 다시 이틀만에 영양과 청송, 영덕 등 7개 지역으로 확산됐던 것이다. 이 지역들이 모두 소나무 숲이 많은 곳들이다. 

여기에 강풍까지 불길을 부채질하면서 의성 산불은 동해안까지 빠르게 번져 영덕이 불바다가 됐다. 초속 10~18m에 이르는 바람은 불똥을 바다에 정박해놓은 배까지 떨어뜨리면서 바닷가 마을이 초토화가 됐다.  

소방당국은 강한 바람에 닥치기전에 주불을 진화하겠다는 각오다. 이번 시기를 놓치면 다음주까지 비 예보는 없고 강풍 예보만 있기 때문에 28일을 산불진화의 '골든타임'으로 보고 모든 자원을 투입해 진화에 나서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기후/환경

+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아프간 이틀만에 또 6.2지진...세차례 지진에 사망자 '눈덩이'

아프가니스탄이 세 차례에 걸쳐 발생한 지진으로 사상자가 3600여명이 넘어섰다.독일 지구과학연구센터(GFZ)에 따르면 아프간 동남부 지역에 4일(현지시

[주말날씨] 이틀간 '100㎜' 퍼붓는다...가뭄 겪는 강릉은?

이번 주말에도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강한 비가 쏟아진다.토요일인 6일은 늦은 새벽 수도권과 충남권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돼 오전중에 강원 내륙&middo

[윤미경칼럼] '강릉의 가뭄'...무엇이 최악사태 불렀나?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은 강릉의 상황은 참담하다. 수도계량기를 75%까지 잠그는 제한급수를 사상 처음으로 실시하고 있고, 개학한 학교에서는 개

물이 얼마나 빠졌으면...오봉저수지 20년만에 발견된 '티코'

극심한 가뭄에 저수율이 13%대로 떨어진 강릉 오봉저수지에서 20여년전에 수몰됐던 티코 차량이 발견돼 화제다.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찰과 강원도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